![]()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9일 국회에서 확대간부회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최근 ‘노인 폄하’ 발언으로 뭇매를 맞은 김 위원장이 또다시 ‘가정사’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혁신위가 내놓는 혁신안마다 번번이 내부 저항에 부딪히고 있다.
정치권 안팎에선 이런 상황이 이어질 경우 혁신위가 활동 동력을 상실, 급기야 해체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9일 혁신위에 따르면 ‘대의원제 권한 축소·공천룰 변경’ 등을 담은 혁신안을 10일 발표할 예정이다.
혁신위는 당초 8일 발표 예정이었던 일정을 10일로 미뤘다. 이는 혁신위 내부에 일어난 각종 악재와 당내 비명계의 부정적인 반응 등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비명계의 잇단 내부 반발로 10일 발표도 미뤄질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현재 혁신위 내부에서는 내년 총선 공천을 앞두고 3선 이상 중진 의원들에 페널티를 주는 등 현역 의원의 기득권을 약화하는 내용의 공천 룰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비명계에서는 "강성 지지층의 입김을 반영한 것으로 사실상 이재명 대표를 위한 것이 아니냐"는 반발이 쏟아지고 있다.
비명계로 분류되는 이원욱 민주당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공천 룰 개정 움직임에 대해 "공천 룰을 자꾸 손보겠다는 것 자체가 비명계의 학살을 위한 작업"이라며 "이재명 당 대표가 이제 그만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당 대표가 지금 계속해서 유지되고 있는 것을 가장 바라는 사람은 오히려 국민의힘"이라며 "이재명 체제에서 치르는 것이 총선에서 가장 유리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혁신위가 내놓은 대의원제 비율을 축소하는 ‘대의원제 권한 축소’ 혁신안도 논란 거리다.
앞서 혁신위는 전당대회에서 대의원의 투표 반영 비율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혁신안을 준비하고 있었다.
현행 당헌에 따르면 당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 본 경선은 권리당원 40%·대의원 30%·여론조사 25%·일반당원 5% 비율로 진행된다.
권리당원은 100만명에 달하는 데 반해 대의원은 1만6000명에 불과해 대의원 표의 가치가 권리당원에 비해 60배에 달한다는 형평성 문제가 제기돼 왔다.
비명계에서는 대의원제 축소에 일제히 반대했다.
대의원의 입지를 대폭 축소하면 ‘개딸’(이 대표 강성 지지층) 등 이 대표를 강하게 지지하는 권리당원의 개입으로 ‘팬덤정치’가 강해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 의원은 대의원제 비율 축소에 대해서는 "이 대표 입장에선 아직까지 개딸의 영향력을 강화시키고 공천제도를 손 봐 비명계를 학살하고 싶은 것"이라며 "이를 혁신위가 건드려주길 바라는 것 때문에 사과하지 않고 있는 것 아닌가 생각된다"고 비판했다.
고민정 민주당 최고위원은 이날 CBS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 인터뷰에서 대의원제 관련 혁신안을 두고 "대의원제는 민심과 관련성이 없다. 총선에서 공천을 행사할 수 있는 것에 대의원은 전혀 해당 사항이 없다"며 "오직 전당대회에만 해당되는 것이라 오히려 분란만 생길 수 있는 소재인데 왜 굳이 이것을 자꾸 얘기하려 하는지 이해가 안된다"고 비판했다.
대의원제 폐지 문제가 이 대표 세력 강화를 위해서라는 질문에는 "대표가 당을 잘 운영하고 끝까지 잘 치러낼 수 있게끔 온갖 머리를 짜내지 않느냐. 그러면 전당대회는 안해도 된다. 왜 굳이 지금 이 것을 급하게 해야 하냐"며 "내년 총선이 이 대표 체제로 치러야 한다는 것은 겨울 쯤에나 결정될 것 같다"고 말했다.
민주당 내에서 혁신위에 대한 쓴소리가 쏟아지면서 혁신안 수용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이다.
당내에선 ‘혁신위 간판을 내려야 한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반면 개딸을 비롯한 민주당 강성지지층이 당 혁신위원들에게 "신뢰! 응원! 과감한 혁신! 기득권 타파! 물러서지 마시라!"라는 내용의 응원 문자 릴레이를 펼치고 있다.
혁신위가 내세운 혁신안 내용 ‘대의원 권한 축소’에 해당 사안을 강력 주장해온 강성지지층이 지지에 나선 것이다.
이 대표 대표 팬카페인 ‘재명이네 마을’에서도 혁신위원을 응원하는 글들이 게재되고 있다.
ys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