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연합뉴스 |
‘친명 좌장’ 정성호 의원은 7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혁신위가 "당 지도부와는 관계없이 독자적으로 움직여왔다"며 이 대표와의 관련성에 선을 그었다.
그는 혁신위에 사실상 치명타를 가한 김은경 위원장 ‘노인 폄하’ 논란에도 "이미 당사자인 김 위원장도 사과했고, 또 옹호 발언을 했던 양이원영 의원도 사과했다"며 "특히 박광온 원내대표도 원내지도부와 같이 가서 사과했기 때문에 이재명 대표가 사과한다는 게 특별한 의미가 더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사자인 김 위원장이 (대한노인회에) 방문해 사과했을 때 김호일 회장께서 김 위원장 사진을 갖다 놓고 약간 폭력적인 방법으로 뺨을 때리는 모습까지 보여줬다"며 "어르신들도 마음을 푸시고 너그럽게 이해해 주시길 부탁드리겠다. 나라 안팎의 현안들이 많지 않겠는가"라고 거듭 논란 진화를 시도했다.
반면 ‘친문’ 최재성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당이 "상황을 너무 안이하게 본다"며 "혁신위도 절실하게 생각하고 출범을 시켰어야 되는데 혁신위의 필요성을 제기했던 사람이나 혁신위를 받아들인 지도부나 절실함이 결격됐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그는 "총선을 앞둔 혁신위의 제1과제는 공천 혁신"이라며 잇따른 논란 등으로 "혁신위가 공천 혁신 근처도 못 가게 생겼다. 그래서 진퇴양난, 설상가상 상황이 된 것"이라고 우려했다.
최 전 수석은 이 대표가 선언했던 ‘불체포 특권 포기’를 혁신위가 1호 혁신안으로 내놨지만 온전히 관철시키지 못한 것과 관련해서도 "체포동의안 당론 가결하겠다고 했는데 그것도 통과 못 시킨 거 아닌가"라고 꼬집었다.
이어 "그런 체력인데 어떻게 비틀대고 있는 혁신위에서 기득권을 타파하는 공천 혁신안을 내놓을 수 있겠나"라고 반문했다.
두 의원은 최근 당 출신 윤관석 의원이 이른바 ‘돈 봉투’ 의혹으로 구속된 데 따른 대응에도 시각차를 보였다.
정 의원은 "(윤 의원 관련) 직접적인 증거가 있는지는 애매한 상황이라고 보고 있다"며 "특히 이 사건의 가장 큰 문제는 영장 심문과정에서 19명 의원 명단이 나왔다고 (알려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에 "정황만 갖고 국회의원의 정치 생명을 끊는 행위라고 보고 있다. 검찰이 이래선 안 된다"며 "언론플레이 (말고) 다른 말로 어떻게 설명할 수가 없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최 전 수석은 검찰 수사와 관련해 "(당이) 여당에는 춘풍이 불고 야당에는 추상과 같다 그러는데 이렇게 연계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의힘 전신인 한나라당이 당사를 천막으로 옮겨 쇄신 의지를 강조했던 사례를 들어 "전당대회 때 (돈 봉투가) 살포된 것은 정말 문제가 있었다, 국민들께 어떻게 하겠다는 그런 각오를 피력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전 수석은 당 리더십 위기와 관련해서도 "이재명 대표 체제로 총선 치르면 진다고 그러면 못 버티는 것"이라며 "(이 대표가 아니면) 민심 자체가 민주당을 떠나서 총선 치를 수 없다고 한다면 사법 리스크 없었던 과거 당 대표들이 총선, 대선 앞두고 물러났던 경우는 어떻게 해명을 할 것인가"라고도 반문했다.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