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소진

sojin@ekn.kr

윤소진기자 기사모음




후후 "2분기 ‘보험가입 권유’ 스팸 급증"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7.25 15:22
[브이피 인포그래픽] 23년 2분기 스팸통계

▲2023년 2분기 스팸 통계.

[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스팸 차단 애플리케이션 ‘후후’를 서비스하는 브이피가 올해 2분기 후후 이용자들이 신고한 스팸 통계를 25일 발표했다. 총 스팸 건수는 595만건으로 이전 분기보다 39만건 감소했다.

전체적인 스팸 건수는 감소했지만, ‘보험가입 권유’ 관련 스팸은 이례적으로 전분기 대비 20.9%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킹으로 유출·탈취된 개인정보가 악용되는 2차 피해사례인 경우는 물론, 서비스 가입, 회원등록 등의 과정에서 명확한 내용을 인지하지 못한 채 마케팅 수신에 동의한 경우에도 발생하는 신고 유형이다.

개인정보 유출이 의심되는 경우라면 한국인터넷진흥원의 ‘털린 내정보 찾기’ 서비스를 이용해 유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정보가 유출됐다면 즉시 개인정보 삭제·수정 등을 통해 추가적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인이 희망하지 않는 보험 상담·가입 권유 전화로 인해 불편을 겪고 있다면 금융회사 홈페이지, 이메일, 영업점 방문 접수를 통해 기존에 동의한 개인신용정보 제공에 대한 철회를 요청할 수 있다.

가장 많이 신고된 스팸 유형은 지난 분기에 이어 여전히 ‘주식·투자’ 관련으로 249만건(41.8%)을 기록했다. 그 다음은 ‘불법게임·유흥업소’ 108만건(18.0%), ‘대출권유’ 99만건(16.7%), ‘보이스피싱’ 29만건(4.8%), ‘보험가입 권유’ 23만건(3.9%) 순이다.

‘주식·투자’ 관련 스팸은 여전히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최근 주식투자 사기 등으로 위축된 투자 심리가 반영되며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 전분기 대비 7.4% 감소했다.

‘불법게임·유흥업소’ 유형의 스팸은 전 분기보다 12.3% 감소했는데, 브이피 측은 최근 정부가 카지노업 유사행위 금지규정 신설 등 불법도박 근절을 위한 대책 수립 및 단속 강화에 나선 영향으로 분석했다.

브이피는 불법 스팸 대응을 위해 관련 법령 개정, 처벌 강화 등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지속되고 있지만 피해를 전면 차단하기는 어려운 만큼 이용자 스스로의 노력 또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후후 앱에서 제공하는 스팸전화 안내 및 의심 URL 탐지 서비스를 이용자가 적극 활용하면 스팸전화 여부, 문자메시지 내 URL의 위험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설명이다.

브이피는 "만약 모르는 번호의 전화를 받았는데 스팸으로 확인했다면 간단한 클릭만으로도 해당 스팸정보를 신고해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다"며 "축적된 신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팸 피해 예방에 앞장설 것"이라고 전했다.


sojin@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