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수현

ysh@ekn.kr

윤수현기자 기사모음




내달 18일 美 대통령 별장서 첫 한미일 정상회의…"굳건한 3각 안보공조 과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7.20 10:10

다자회의 때 아닌 '별도 3자회의'는 처음…히로시마 G7회의 후 3개월만
한미 대통령이 美 캠프데이비드서 만나는 것은 2008년 MB 이후 15년만

PEP20230521175901009_P4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윤석열 대통령.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윤수현 기자]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참석하는 ‘한미일 정상회의’가 다음 달 18일(현지시간) 미 워싱턴 인근 대통령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개최될 것으로 20일 알려졌다.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언론 공지에서 "한미일 3국 정상회의를 8월 중 미국에서 개최할 예정"이라며 "구체적인 날짜와 장소는 3국 간 조율을 거쳐 빠른 시일 내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5월 21일 일본 히로시마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당시 한일 정상을 만나 워싱턴DC 정상회담 개최를 제안한 지 약 3개월 만이다.

3국 간 논의를 거쳐 워싱턴DC 백악관에서 100km가량 떨어진 메릴랜드주 산속 ‘캠프 데이비드’에서 3자 정상회의를 갖는 것으로 최종 결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일 정상은 안보, 경제, 글로벌 어젠다 등의 대응에서 협력 강화 기조를 밝힐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발사 시도, 신형 고체연료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18형’ 발사 등 각종 도발을 이어가는 상황에서 3국 간 대북 억지력 강화 방안을 집중 논의, 굳건한 3국간 안보 동맹을 과시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11월 합의한 ‘북 미사일 경보정보 공유 메커니즘’의 조속한 가동을 위한 준비 상황에 대한 점검도 이뤄질 것으로 전해졌다.

반도체 공급망 구축, 러시아 침공으로 인한 우크라이나 전쟁 등 글로벌 이슈에서의 연대 방안 등도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관측됐다.

한미일 정상이 다자간 국제회의를 계기로 만나는 것 말고 별도의 3자 회담 만을 위해 모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데 이번 회담의 의미가 담겨 있다는 게 외교안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한미일은 그동안 히로시마 G7 정상회의처럼 다자회의를 계기로 3자 회담을 열어 왔다.

대통령실은 이번 일정을 언론에 발표하면서 ‘한미일 정상회담’이 아닌 ‘한미일 정상회의’로 표기했다.

1999년부터 개최돼온 ‘한중일 정상회의’에 대응해 한미일 협력을 부각하는 용어 선택으로도 보인다.

윤 대통령은 지난 4월 하순 국빈 방미를 통해 워싱턴과 보스턴을 방문한 지 약 4개월 만에 다시 미국을 찾게 됐다.

메릴랜드주 산속에 자리한 캠프 데이비드는 1943년 프랭클린 델라노 루스벨트 당시 대통령이 처음 방문한 이래 역대 미 대통령들이 즐겨 찾았다.

1978년 이스라엘과 이집트 간 평화교섭인 ‘캠프 데이비드 협정’, 2012년 주요8개국(G8) 정상회의 등 세계 역사의 주요 무대이기도 했다.

한국 대통령 중에는 2008년 4월 이명박 당시 대통령이 첫 방미 당시 초청을 받아 부시 대통령과 캠프 데이비드에서 정상회담을 한 적이 있다.
ys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