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성우창

suc@ekn.kr

성우창기자 기사모음




증권사 PF 부실 비상대응… 충당금 쌓고 모니터링 강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7.11 15:28

울며 겨자먹기 식 평가손실 인식으로 2분기 실적 '먹구름'



'PF 비중 40%' 달하는 중소형사 위기… 연체율도 상승



1조원 지원펀드 9월부터 가동… 금융당국도 '지원사격'

clip20230711143202

▲여의도 증권가


[에너지경제신문=성우창 기자] 증권업계에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부동산 PF 연체율이 15%대로 치솟은 상황에서 ‘새마을금고 사태’ 여파까지 겹쳤기 때문이다. 증권사들은 당장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상반기 부동산 PF 부실 위험에 대비한 충당금을 쌓는 등 비상 계획(컨틴전시 플랜)을 세워 대응에 나섰다.

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대형 증권사들은 올 상반기 부동산 PF 자산을 회수하지 못할 것에 대비해 충당금을 쌓으면서 위험을 관리하는 중이다. 충당금 규모는 약 200~350억원 규모로 알려졌다.

그러나 증권가 안팎에선 증권사들이 2분기에 쌓아야 할 충당금 규모가 두 배 이상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2분기 동안 부동산 PF 우려뿐만 아니라 차액결제거래(CFD) 사태까지 겹쳤기 때문이다. 이 충당금 적립, 평가손실 인식에 따라 증권사들의 2분기 실적 감소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한국금융지주, 삼성증권, NH투자증권, 키움증권 등 5개사의 합산 2분기 지배주주 순이익 전망치는 7530억원대로, 전 분기보다 40%가량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국내 증권사들의 부동산 PF 신용공여 잔액은 지난 7일 기준 21조4665억원으로 집계됐다. 삼성증권, 한국투자증권, 메리츠증권, KB증권 등의 PF 신용공여 규모는 각각 2조원대,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하나증권 등은 1조원대 수준이다.

단 대형 증권사들은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 PF 비중이 작아 상대적으로 위험이 적은 것으로 추정된다. 신한투자증권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들의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 PF 비중은 작년 말 기준 평균 28.7%다. 그러나 비교적 자기자본 규모가 작은 중소형사들은 부동산 PF 비중이 40% 내외로 집계됐다. PF 부실이 현실화할 경우 회사 전체에 큰 위험이 미칠 수 있는 규모다.

또한 치솟는 부동산 PF 연체율로 인해 증권사들의 신용도 강등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증권사들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지난 1분기 말 기준 15.9%로 금융권 내에서 가장 높으며, 2021년 말(3.71%) 대비 4배가 넘는다.

임희연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증권사들의 2분기 실적은 부동산 PF와 CFD 관련 충당금 적립과 평가손실 인식으로 이익 감소가 불가피하다"며 "PF 부실화 우려는 제한적이지만, 적극적인 연체 채권 상각을 통한 연체율 관리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에 각 증권사는 부동산 PF 위험이 현실화하지 않도록 비상 계획을 가동 중이다. 주로 리스크 심사부서와 협의해 한층 강화된 위험 심사 정책을 마련하거나, 선순위 위주로 신규 투자를 실시하는 등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는 분위기다. 또한 기존 투자 사업장에 대한 모니터링 빈도를 늘려 주기적으로 진행 상황을 점검하는 곳도 나타났다. 대주단 협의체, 캠코의 PF 정상화 펀드를 통해 사업장 정상화를 시도하기도 한다.

금융당국도 지난 4월부터 부동산 PF 대주단 협약을 재가동해 신규 자금 지원, 이자 유예 등 금융지원을 하고 있다. 1조원 규모의 부동산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펀드도 오는 9월부터 가동된다. 더불어 증권사가 이미 ‘추정손실’로 분류한 자산 상각을 신청하면 이를 신속하게 승인하는 등 부실채권 대손상각도 유도할 계획이다.

한 중소형 증권사 관계자는 "이미 작년 말부터 사후관리 조직을 신설하고 인력을 충원해 집중 대응에 나섰다"며 "아직 특별한 이벤트는 없지만, 상황을 보수적으로 해석해 충당금을 최대한 쌓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suc@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