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삼성전자가 지난 2분기 14년만에 가장 저조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반도체 업황 악화가 계속된데다 글로벌 시장 내 소비까지 위축된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당초 시장에서 예상했던 이익 전망치는 크게 웃돌아 하반기 실적에 대한 전망을 밝게 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6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95.74% 줄어든 수치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60조원으로 22.28% 감소했다.
삼성전자의 이 같은 영업이익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였던 2009년 1분기(5900억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날 부문별 세부 실적은 공개되지는 않았다.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에서 3조∼4조원대 적자를 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선 1분기에는 4조5000억원 가량 적자를 냈다. 당시 전사 영업이익은 6402억원이었다. 업계에서는 메모리 출하량이 늘면서 재고평가손실 규모가 전 분기 대비 감소했을 것으로 추산한다.
대신 1분기와 다르게 모바일경험(MX) 사업 성적이 기대 이하였을 것으로 분석된다. 갤럭시S23 출시 효과가 떨어진데다 주요국 경제 상황이 녹록지않아 소비여력이 줄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오는 26일 국내에서 ‘언팩’ 행사를 열고 새로운 갤럭시 제품을 공개할 예정이다.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