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한은행 청년희망적금 안내 화면. |
애초 연 소득 3600만원이하 청년들에게 ‘보편적’으로 혜택을 준다는 적금이었지만, 비교적 저소득 청년들이 불경기 앞에 소외된 정책으로 귀결되는 모양새다.
2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에 ‘청년희망적금 운영 현황’을 제출했다.
해당 자료에서 적금이 출시된 지난해 2월 당시 최초 가입자는 289만 5546명에 달했다. 그러나 지난 5월 말 기준 중도 해지자 수는 68만 4878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중도 해지율은 23.7%로 나타났다.
고물가·고금리에 저축 여력이 줄고 지출 변수가 많은 20·30 세대 급전 수요가 맞물리며 중도 해지자가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납입 금액대별 해지 현황을 살펴보면, ‘10만원 미만’ 납입자 중도 해지율이 49.2%로 가장 높았다.
이어 ‘10만원 이상~20만원 미만’ 48.1%, ‘20만원 이상~30만원 미만’ 43.9%, ‘30만원 이상~40만원 미만’ 40.3% 등으로 금액이 높을수록 해지율이 감소했다.
특히 납입 한도인 50만원을 꽉 채워 납입한 청년들의 경우 중도 해지율이 14.8%로 크게 낮았다.
연령대별로도 나이가 적을수록 중도 해지율이 높은 편이었다. 가입 상한 연령인 만 34세 중도 해지율은 21.2%인데 반해 가입 하한 연령인 만 19세 해지율은 27.9%에 달했다.
청년희망적금은 총 급여 3600만원 이하 만 19~34세 청년 자산 형성을 돕고자 문재인 정부에서 출시한 정책 금융 상품이다.
만기 2년 동안 매달 50만원 한도로 납입할 경우 정부 지원금(저축 장려금)까지 합쳐 연 10% 안팎의 금리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됐다.
최대 36만원 정부 지원금이 만기 시 한꺼번에 지급되는 구조다.
높은 금리 수준에 출시 초기 은행 앱이 먹통이 될 정도로 가입 신청이 폭주했다. 당시 정부는 가입자 규모를 38만명으로 예측했으나 300만명에 가까운 가입자가 몰렸다.
청년희망적금의 만기가 반년 이상 남았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최종 해약자 수는 최초 설정한 가입자 규모 38만명의 ‘배 이상’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청년희망적금의 높은 해지율로 인해 금융당국은 비슷한 정책 목표로 최근 출시한 ‘청년도약계좌’ 중도 해지 방지 방안도 추가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 대통령의 주요 대선 공약 중 하나다. 5년간 매달 70만원 한도로 적금하면 지원금(월 최대 2만 4000원) 등을 더해 ‘최대’ 5000만원 목돈을 만들 수 있게 설계됐다.
금융당국은 "청년도약계좌 만기는 5년으로, 청년희망적금보다 3년가량 길지만 적금 유지율 목표는 70%대 중반으로 잡고 있다"며 "추가적인 적금 유지 방안을 위해 연구 용역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금융위원회는 가입자가 급전 수요에 중도 해지하지 않도록 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청년도약계좌와 연계한 적금담보부대출 운영, 햇살론 유스 대출 시 우대금리 지원 등이 해당된다.
매달 쌓이는 정부 지원금과 이자 수준을 은행 계좌나 앱을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산 시스템도 개발 중이다. ‘돈 쌓이는 재미’를 더 구체적으로 체감할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다.
강민국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 문제를 반면교사 삼아 수시로 상품을 점검해 생활·주거 안정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의 실질적 중장기 자산 형성을 도울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