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유라

ys106@ekn.kr

나유라기자 기사모음




연체율 오르는데 가계대출 최대폭 증가...銀 건전성관리 괜찮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6.11 10:19

가계대출 2개월 연속 늘어

주택구입자금 수요에 주담대↑



은행권 원화대출 연체율 1년 전보다↑

"높은 가계부채 수준, 거시경제-금융안정 저해"

85458.jpeg

▲우리나라는 미국, 영국 등 주요국과 달리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별다른 조정을 거치지 않고 가계부채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은행권의 연체율이 꾸준히 오르는 가운데 5월 가계대출이 1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불어나면서 건전성 관리에 비상등이 켜졌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증가세 지속 여부를 면밀하게 모니터링해 가계대출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가계대출 증가세가 지속되면 이자비용 부담으로 가처분 소득이 줄면서 우리나라 경제 성장에도 부정적이라고 지적했다.

11일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등에 따르면 5월 중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056조40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4조2000억원 증가했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감소세를 보이다가 4월에 2조3000억원 늘며 증가세로 돌아선 이후 2개월 연속 늘었다. 5월 가계대출 증가 폭은 2021년 10월 5조2000억원 이후 1년 7개월 만에 가장 컸다.

은행권 가계대출 가운데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이 807조9000억원으로 가장 컸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 잔액은 247조3000억원이었다. 주담대는 전월 대비 4조3000억원 증가했다. 주담대 증가 폭 역시 2021년 10월(4조7000억원) 이후 가장 컸다. 주택담보대출 증가 규모는 주택구입자금 수요 지속, 전세자금대출 둔화세 약화 등으로 확대됐다. 주택 매매 계약 이후 주담대 실행 시차가 통상 2~3개월 걸리는데, 지난 2~3월 아파트 거래량이 늘면서 5월 주택담보대출 수요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tryrry

▲자료=한국은행


가계부채 증가는 곧 우리 경제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미국, 영국 등 주요국과 달리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별다른 조정을 거치지 않고 가계부채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미국, 영국은 2000년 이후 가계부채 비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해 100%에 근접하는 수준까지 도달했다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빠르게 하락했다. 이와 달리 우리나라는 외환위기(1998년), 카드사태(2003~2004년)를 계기로 가계부채 비율이 일시적으로 하락했지만, 이후 별도의 조정 없이 상승세를 지속해왔다.

한은은 최근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높은 가계부채 수준은 가계 소비를 제약하는 한편 금융위기 가능성을 증대시키거나 성장잠재력을 훼손함으로써 장단기 시계에서 모두 거시경제, 금융안정을 저해하는 요인"이라고 짚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일정 수준(80~100)을 상회할 경우 과다채무로 인한 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가 가계의 실질 가처분 소득을 감소시켜 민간소비를 위축시키고,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은행권의 원화대출 연체율도 꾸준히 상승하면서 은행권은 건전성 관리에 비상등이 켜졌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33%로 전년 동월 말(0.22%) 대비 0.11%포인트(p) 상승했다.

이 중 가계대출 연체율은 0.31%로 전년 동월 말(0.17%) 대비 0.14%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 주담대를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 연체율은 0.59%로 1년 전보다 각각 0.10%포인트, 0.28%포인트 올랐다. 최근 국내외 주요 전망 기관들이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보다 하향 조정하는 것도 고금리로 인한 소비 여력 감소 등의 상황이 고려됐다는 분석이다.

서지용 상명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무역수지 적자가 지속되고, 민간소비 개선세도 예상보다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최근 들어 은행 대출금리는 낮아졌지만 고정금리로 갈아탄 차주들은 이러한 혜택을 보지 못하고 있고, 이자비용 부담으로 가처분 소득이 감소하고 있는 점도 소비에 부정적"이라고 진단했다.

ys106@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