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아이보시 고이치 주한일본대사의 예방을 받고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
김 대표는 8일 오후 국회에서 아이보시 고이치 주한 일본대사를 접견했다. 이번 접견은 아이보시 대사의 요청으로 성사됐다. 김 대표는 지난 3월 필립 골드버그 주한 미국대사와 싱하이밍 중국대사를 차례로 접견했다.
이번 김 대표와 아이보시 대사와의 면담 자리에서는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문제와 한·미·일 공조 체제 강화 등 한일 양국의 현안 관련 대화가 이뤄졌다.
김 대표는 "우리 당은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비과학적인 선전·선동을 배격할 것"이라며 "악의적인 선전·선동은 양국 간 관계 발전을 저해하고, 어민에게 막대한 피해만 일으킨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할 것"이라면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을 통해 불신을 없애는 일에 일본 측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이보시 대사는 "한국 국내에서 계속 처리수 문제에 관한 우려의 목소리가 있는 것은 저희도 인식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앞으로도 한국 정부와 긴밀하게 소통하면서 높은 투명성을 가지고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성실한 설명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8일 저녁 성북구 중국대사관저에서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를 만나고 있다. 연합뉴스 |
이 대표는 이날 회동 자리에서 "최근 한중관계에 국제정세나 경제상황 등이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 입장에서는 중국이 최대 흑자국에서 최대 적자국으로 전환되면서 많은 곤란에 봉착했다"며 "현지 진출한 기업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중국 정부에서 각별한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싱 대사는 "현재 중한관계가 많은 어려움에 부딪혔고 이에 대해 깊이 우려하며 가슴이 아프다"고 했다.
그러면서 "솔직히 그 책임은 중국에 있지 않다. 우리가 한국의 핵심 관심사항을 준용하는 동시에 한국도 중국의 관심사항을 존중하면 고맙겠다"며 최근 한국 정부의 탈중국화 흐름에 대한 불만을 드러냈다.
이어 "한국이 중국과의 관계를 처리할 때 외부 요소의 방해에서 벗어나기를 바란다"며 미국을 겨냥하기도 했다.
이 대표와 싱 대사는 일본 오염수 방류에 대해선 공동으로 반대했다.
이 대표는 "주변국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데 이 문제에 대해 가능하면 함께 목소리를 내고 공동 대응책을 강구해 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싱 대사는 "일본이 경제적 이익을 이용해서 태평양을 하수도로 삼고 있다. 지극히 무책임한 행위"라며 "우린 방류를 결연히 반대한다. 한국과 이런 면에서 잘 협력하고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이번 회동은 한국 정계의 다양한 목소리를 듣기 위해 싱 대사의 요청으로 이뤄졌다. 이처럼 신임 대사 부임이나 당 대표 취임 등 특별한 계기 없이 주한 중국대사가 야당 대표를 예방하는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사실상 중국이 이번 자리를 마련한 것은 한미일 공조에 무게를 두고 있는 윤석열 정부 외교정책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는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윤석열 정부가 한·미·일 관계에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이 상대적으로 소원해진 한중관계를 주도하려는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최근 정부·여당은 각종 논란에도 셔틀외교 복원 등을 통해 오랫동안 단절됐던 대일 관계를 정상화 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윤 정부는 또 외교·안보 분야 최상위 문서인 ‘국가안보전략서’에서 박근혜, 문재인 전 대통령들과는 달리 한중 관계보다 한일 관계를 먼저 기술한 바 있다. 정부·여당이 일본에 외교의 문을 활짝 열고 양국 간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민주당 입장에서는 견제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이 동북아 외교 중심 축을 중국에서 일본으로 옮기면서 편향 논란을 빚는 것에 대한 보완외교라는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고 있다.
다만 대통령과 제1야당 대표가 "여야에는 외교가 없다"는 외교 상식에서 벗어나 엇갈린 외교 행보하는 한다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특히 민주당은 일본 오염수 관련해서만 목소리를 높이고 중국의 삼중수소와 미세먼지 등에 대해 균형 있게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다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또 북핵 대응을 비롯해 경제 및 한류 현안 해결 등에도 적극적인 협력을 요구하지 않은 상황이다.
ys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