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인 공고문(사진=AP/연합) |
5일(현지시간) 미 노동부가 발표한 4월 고용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비농업 일자리가 25만 3000개 증가했다. 이는 3월 증가폭(16만 5000개)를 휠씬 뛰어넘은 것은 물론 월스트리트저널(WSJ),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각각 18만 개 증개, 18만 5000개 증가)를 크게 상회했다.
업종별로는 전문사무서비스(4만 3000 개), 보건의료(4만 개), 레저·접객업(3만1천 개) 등의 순으로 일자리를 많이 늘렸다.
지난 3월 실리콘밸리은행(SVB)과 시그니처은행 연쇄 붕괴 사태에도 불구하고 금융업 또한 일자리가 2만3천 개 증가했다.
다만 노동부는 지난 2월과 3월 비농업 일자리를 각각 7만8000 개, 7만1000 개 하향 조정해 2∼3월 일자리 증가폭을 종전 발표보다 총 14만9000 개 줄였다.
실업률은 3.4%로 1969년 이후 54년 만 최저 수준을 기록했으며 전월(3.5%)보다 낮아진 것은 물론 시장 전망치(3.5∼3.6%)를 하회했다.
또 전체 근로자의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월보다 0.5%, 전년 동월보다 4.4% 각각 상승해 다시 오름폭을 키웠고 시장 전망치(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4.2%)도 훌쩍 넘었다.
이와 관련해 블룸버그는 "연준이 보고싶었던 것 중 하나는 임금 상승률 둔화였다"며 "그러나 이날 보고서에선 그런 일이 없았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는 이어 "몇몇 기업들은 채용을 줄이거나 해고에 나섰지만 일부는 직원을 채우기 위해 급여를 여전히 올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보고서는 연준이 이르면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부터 금리 동결에 나설 가능성을 시사한 상황에서 발표됐기 때문에 주목을 받는다. 그러나 이번 발표는 지난 1년간의 급격한 금리인상과 3월부터 지역은행들의 연쇄 위기, 경기침체 우려 속에서도 미국 노동시장이 여전히 강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와 관련, KPMG의 다이앤 스웡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노동시장은 여전히 타이트하다"며 "연준이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열어둔 데는 이유가 있다. 이번 데이터는 우리가 원했던 동결에 확신을 실어주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블룸버그도 6월 연준의 11번째 금리인상 가능성이 열릴 잠재력이 있다고 전했다.
다만 글로벌 금융시장은 강한 반등세를 보이고 있어 주목을 받는다.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5일 한국시간 오후 11시 26분 기준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선물은 1.31%, S&P500 선물은 1.37%, 나스닥 선물은 1.36% 상승 등 3대 지수가 모두 오르고 있다.
이를 두고 블룸버그는 은행주들의 반등, 애플의 실적 호조 등으로 투자심리가 회복되고 있다고 해석했다. 아울러 노동시장이 여전히 강하기 때문에 연착륙이 가능해지는 게 아니냐는 기대감이 부상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토로의 칼리 콕스 애널리스트는 "이번 보고서는 연준이 경제를 아직 무너뜨리지 않았다는 또 하나의 징후"라며 "고용 지표에 드러나기 전까지 침체가 다가왔다고 주장하기엔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