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교통안전공단이 6일 자율주행차 상용화 성과와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사진은 자동차안전연구원 전경. |
6일 공단에 따르면 공단은 기존 자율주행시스템을 현행 승용자동차에서 모든 차종까지 확대해 적용하고 자동차로 변경기능의 기준을 도입하는 등 국토교통부와 함께 제도 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다.
공단은 정부R&D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국제 동향과 국내 업계·학계 등 의견수렴을 거쳐 지난 2019년 12월 전 세계 최초로 부분 자율주행시스템(레벨3) 안전기준을 마련한 데 이어 자율주행 기술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11월 글로벌 수준의 안전기준 정비를 마련하고 자율주행차의 상용화를 위한 기반을 구축했다.
아울러 공단은 자율주행차 개발부터 출시까지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작업체의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해소하기 위한 전담조직을 구성해 상용화를 지원하고 있다. 전담조직은 기준·기술부문과 국제·인증부문으로 구성됐으며 자율주행기술 안전기준 적합여부를 판단하거나 선진기술 등 해외사례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자율주행차의 안전성 확인을 위한 각 단계별 평가를 민간과 함께 실시해 검증 노하우를 공유하고 레벨3 자율주행차의 국내 판매를 위한 제원관리번호를 신속하게 부여하는 등 제도적인 준비절차를 완료하도록 지원했다.
향후에는 레벨3 자율주행차의 국내 출시를 위해 지원 대상을 기존 완성차업체에서 중소·스타트업까지 포함하고 자율주행 상용화가 정착될 때까지 운영기간을 연장해 지원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권용복 공단 이사장은 "앞으로도 ‘임시운행 신속허가제’ 및 ‘시범운행지구 전국 확대’ 등을 통해 민간의 자유로운 자율주행 실증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며 "정부의 2027년 완전자율주행(레벨4) 상용화를 목표로 ‘레벨4 성능인증제 도입’, ‘K-CITY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는 등 국토교통부 등 관계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giryeong@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