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SK 70주년, ‘패기로 묻고 지성으로 답하다’…창업·선대 회장 경영철학 공유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4.06 14:40

창업·선대회장 어록집 발간···250개 대표 어록·일화 다뤄



사업보국·국가경쟁력 강조···"SK DNA 조명"

2023040601000315500014321

▲1967년 아세테이트 원사 공장 기공식에 최종건 창업회장(왼쪽 5번째)과 최종현 선대회장(6번째).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구부러진 것은 펴고 끊어진 것은 잇는다."(최종건 SK그룹 창업회장)

SK그룹이 창립 70주년을 맞아 최종건 창업회장과 최종현 선대회장 형제의 어록집 ‘패기로 묻고 지성으로 답하다’를 발간했다. 책은 약 250개 대표 어록을 일화와 함께 다룬다. 국가 경쟁력 강화를 고민했던 두 회장의 유지가 어떻게 계승돼 SK가 성장했는지를 조명한다.

이를 위해 SK는 기록물 약 1만5000장을 분석했다. 창업부터 선대회장 시기 1500여장의 사진자료를 디지털로 복원해 대표 이미지 170장을 책에 담았다.

SK그룹에 따르면 두 회장은 한국전쟁, 수출 활로 개척, 석유 파동, IMF 경제 위기 등 격동의 시대에 맨손으로 사업을 개척했다. 이들의 어록은 반세기가 지난 현재에도 시대를 초월한 교훈을 주고 있다. 특히 지정학적 위기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높아진 오늘날, 기업인에게 대한민국 위기 극복의 해법을 제시한다.

최종건 창업회장은 1953년 버려진 직기를 재조립해 선경직물을 창업한 후 ‘Made in Korea’가 새겨진 인견 직물을 최초로 수출하는 등 우리나라를 가난에서 벗어나게 해야 한다는 사명감을 평생 실천한 기업인이다.

그는 "회사의 발전이 곧 나라의 발전"이라며 "우리의 슬기와 용기로써 뚫지 못하는 난관은 없다"고 강조했다.

최종건 회장은 "돈으로 사람을 살 수 없다. 마음을 주고 사야 한다"고 말하며 발전만이 미덕인 시대에 사람의 가치를 존중했다.

1973년 창업회장의 유지를 이어 받은 최종현 선대회장은 미국에서 수학한 지식을 기반으로 ‘시카고학파’의 시장경제 논리를 한국식 경영에 접목시킨 당시 보기 드문 기업인이다. 회사가 이윤만을 추구하던 1970년대, 서양의 합리적 경영이론과 동양의 인간 중심 사상을 결합해 SK 고유의 경영관리체계인 SKMS(SK Management System)를 정립했다.

최 선대회장은 "첫째도 인간, 둘째도 인간, 셋째도 인간", "You가 알아서 해" 등 어록을 남겼다.

2023040601000315500014322

▲폐암수술을 받은 최종현 선대회장(가운데)이 IMF 구제금융 직전인 1997년 9월, 산소 호흡기를 꽂은 채 전경련 회장단 회의에 참석해 경제위기 극복방안을 논의하는 모습

두 회장의 경영철학은 고스란히 최태원 회장에게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최 회장은 2021년 대한상의 회장에 추대됐을 때 "국가경제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부산엑스포 유치 지원 활동과 글로벌 경제 협력 등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기업의 포트폴리오를 과감하게 조정하는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고, 인재 양성에 힘쓰는 것도 SK 전통을 계승한 결과로 풀이된다.

최 회장은 발간사를 통해 "창업회장과 선대회장의 삶과 철학은 단지 기업의 발전에 머무르지 않았고 국가와 사회의 발전에 향해 있었다"며 "선대의 도전과 위기극복 정신이 앞으로 SK 70년 도약과 미래 디자인의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ye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