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강근주

kkjoo0912@ekn.kr

강근주기자 기사모음




경기도 유기견 훈련시켜 매개치료견으로 양성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4.03 08:00
경기도청 북부청사

▲경기도청 북부청사. 사진제공=경기북부청

[의정부=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 기자] 경기도도우미견나눔센터가 유기견으로 나눔센터에 들어온 뒤 약 6개월간 훈련받은 ‘청’(골든리트리버. 1살 추정)을 최근 동물 매개 활동가에게 입양 보냈다.

2013년 개소한 나눔센터는 각 시-군 보호소에서 안락사 위기에 놓인 유기견 중 자질을 갖춘 개체를 별도 선발해 심리치료, 놀이치료활동, 생명존중교육 등을 하는 동물 매개 활동(치료)견으로 훈련시켜 입양을 보낸다.

‘청’은 나눔센터에서 입양된 서른 번째 동물 매개 활동(치료)견으로 앞으로 장애인복지시설이나 어린이-청소년과 함께 다양한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나눔센터에는 또 다른 1마리 유기견이 동물 매개 활동(치료)견 선발 심사를 통과하여 훈련을 받고 있다.

동물 매개 활동(치료)견이 되는 과정은 먼저 나눔센터가 시-군 보호소에서 공고기간이 지난 유기견 중 동물 매개 활동(치료)견으로써 자질이 있는지를 평가한다. 자질이 있다고 평가된 개체는 동물 매개견 훈련경력을 갖춘 담당 훈련사가 동물매개 활동과 사회 적응에 필요한 추가 훈련을 진행한다.

기본적인 복종 훈련부터 시작해 잘 흥분하지 않고, 처음 보는 사람과도 쉽게 친숙해질 수 있는 훈련 등 약 6개월 정도 양성기간을 갖는다. 이후 에소테스트(Ethotest)2005를 활용한 최종 심사를 진행한다. 에소테스트는 동물 공격성, 사회성, 적합성 등을 판단하는 방법이다.

동물 매개 활동(치료)견으로 훈련받은 동물은 동물 매개 심리상담사 혹은 동물 매개 활동가에게 입양 후 거동이 불편하거나 심리적으로 불안한 사람을 대상으로 심리치료, 자신감 회복, 사회성 증진 등 심리치료의 매개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동물 매개 활동(치료)견을 활용해 어린이나 학생을 대상으로 생명존중 교육이나 직업체험 활동도 많이 한다.

박연경 반려동물과장은 3일 "유기견은 문제행동이 많고 키우기 어려울 것이란 편견이 있는데, 사람을 돕는 도우미견으로 활동하기에 좋은 성향을 지닌 개체도 많다"며 "사람에게 정서적으로 좋은 영향을 주고 심리치료 역할도 할 수 있는 매개 치료(활동)견 양성에 앞으로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하반기 여주에 개장할 반려동물테마파크는 반려인과 반려동물, 비반려인 소통을 위해 운영될 소중한 문화공간이자 유기견을 케어하고 새로운 가족을 맞이할 공간으로 경기도민에게 찾아갈 예정이다.
kkjoo0912@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