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도청 북부청사. 사진제공=경기북부청 |
‘기발한’이란 ‘기업과 기회가 발전한다’라는 의미로, 경기도가 직접 기업현장 의견을 듣고 해결방안을 함께 모색하기 위해 맞손토크를 마련했다. 광주-하남-이천-양평-여주-남양주-구리 등 동부권역 기업체 관계자를 비롯해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신용보증재단 등 관계기관, 시군 관계자 등 80여명이 참석했다.
맞손토크는 기업인 애로사항을 듣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등 자유롭게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한 기업인은 "가구 기업 등 영세한 중소기업은 탄소중립, 스마트공장 등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경영위기상황에서 시설개선에 막대한 자금을 선뜻 투자가 어려우니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노태종 특화기업지원과장은 "도의 가구분야 육성을 위한 ‘제조공정 고도화’ 사업 등 스마트 가구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내년 신규사업 추진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또 다른 기업인은 "수도권정비계획법으로 인해 사업 확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자연보전권역 내 공업용지(산업단지)를 6만㎡에서 30㎡ 이하까지 조성 가능토록 시행령을 개정해 달라"고 건의했다.
류호국 지역정책과장은 이에 대해 "경기도는 해당 문제점과 개정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으며, 자연보전 권역 시-군 간담회를 통한 의견 수렴과 중앙정부 건의를 추진하겠다"고 답변했다.
이밖에 참석 기업인은 △지식산업센터 내 입주허용 업종 확대와 거주 제한요건 삭제 △지자체 산업단지 조성 재정 보조지원 요청 △정책자금 융자기간 장기지원 확대 건의 △노동자 기숙사 임차비 지원 시 전입신고 대체 등을 건의했다.
염태영 부지사는 "경기동부는 팔당 특별대책지역, 자연보전 권역 지역 등 낙후지역의 불합리한 규제 중첩이 성장 걸림돌이 돼왔다"며 "기업인 발목을 잡는 규제개선과 성장을 위한 지원 사업 등을 통해 더 고른 기회, 더 성장할 기회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3월7일 북부권역 기업인과 맞손토크를 시작으로 권역별 ‘기발한 기업현장 맞손토크’를 추진 중이며, 기업인 어려움을 듣고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소통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kkjoo0912@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