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기차 및 이륜차 복합스테이션 사진=인천시 |
시는 환경부가 전기차 및 이륜차 충전 편의시설 확충을 위해 주관한 ‘2023년 지역별 무공해차 전환 브랜드사업’에 7개가 선정돼 국비 161억원을 확보했다.
시에 따르면 시에는 지난해에만 1만 1900대의 전기차가 보급되는 등 지난해 말 현재 2만 2267대의 전기차가 등록돼 있으나 설치된 충전시설은 5424기로 전기차 보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실정이다.
시는 이에따라 충전 불편을 해소하고자 이번 사업에 적극적으로 임해 충전 편의시설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
환경부 지역별 무공해차 전환 브랜드사업은 전기자동차 보급과 충전시설 구축을 지역 특성에 맞게 연계하는 사업이며 국비 지원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부담을 없애는 대신 민간투자를 끌어내는 사업으로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 민간사업자 모두 참여할 수 있다.
이번에 선정된 7개 사업은 광역사업(인천시) 5개, 기초사업(남동구) 1개, 민간사업(충전사업자) 1개이며, 국비 161억 원과 민간투자 172억 원 등 총 333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전기차 인프라업체 이지차저가 민간투자로 4개 광역사업에 참여한다.
시는 우선「물류·관광 허브 경제자유구역 중심 친환경 충전 편의시설 거점 구축사업」에 100억원(국비 49억, 민간 51억)을 들여 중구, 동구, 미추홀구 일원에 급속 224기, 완속 108기를 설치할 예정이다.
또「글로벌 거점 송도국제도시 전기차 충전 편의시설 구축사업」에는 89억원(국비 43억, 민간 46억)을 들여 연수구, 부평구를 중심으로 급속 205기, 완속 16기를, 「국제 금융·관광 유통 촉진 청라국제도시 전기차 충전 편의시설 허브 구축사업」에는 75억원(국비 36억, 민간 39억)을 들여 남동구, 계양구, 서구 일원에 급속 153기, 완속 35기를 각각 설치한다.
아울러「강화도 역사 문화 관광 클러스터 친환경 충전 편의시설 구축사업」에는 39억원(국비 19억, 민간 20억)을 들여 강화군, 옹진군에 급속 89기, 완속 1기를 설치할 계획이다.
모터싸이클 전문업체 디엔에이 모터스는 민간투자로 광역사업인 「전기이륜차 BSS(공유 배터리 충전스테이션) 관련 문화관광 트랜드 조성 충전 편의시설 구축사업」에 참여하며 이를 통해 사업비 5억3000만원(국비 2억, 민간 3억 3000만원)을 들여 관내에 BSS 21기를, 전기차 충전기 운영업체 SK일렉링크는 민간투자로 기초사업인 「인천 남동구 All Day with EV사업」에 참여한다. 이를 통해 사업비 10억 9000억원(국비 4억 2000만원, 민간 6억 7000만원)을 들여 남동구에 급속 15기, 완속 18기를 설치할 방침이다.
박광근 시 에너지산업과장은 "이번 국비 확보와 민간투자로 전기차 충전시설이 확충되면 충전사각지대 해소도 빠르게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앞으로도 전기차와 이륜차 충전 편의시설 확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인천=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sih31@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