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8일 오후 광명 새빛공원에서 열린 광명시 ‘기후위기 대응’ 주제 맞손토크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소통 토크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
김 지사는 이날 광명시 새빛공원 내 자경저류지에서 ‘기후 대응 맞손토크’를 열고 광명시민들과 함께 기후 위기 대응·탄소중립 정책 방향과 실천 방안을 논의했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기후변화에 대해 가장 앞장서는 지자체가 되겠다. 경기도 레드팀에서 제일 처음 제안한 것이 도청 카페에서 1회용 컵을 없애자는 것이었다"며 "올 1월부터 도청 내 1회용 컵을 다회용으로 바꿨고 4월부터는 밖에서 식사하고 들어오는 직원들이 1회용 컵을 들고 오지 않기로 했다. 다음 단계로는 식사 배달 시 나오는 플라스틱 용기를 없애는 방법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인류를 위협하는 3대 도전 과제로 저는 디지털 전환과 기후변화, 인구 위기를 꼽았다"며 "저는 기후도지사가 되려고 생각하고 있으며 여러분과 함께 광명시와 경기도가 대한민국 기후변화 대응의 첨병이 되도록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맞손토크에는 광명시 1.5°C 기후의병, 지역주민, 초중고 학생, 시민단체를 비롯해 박승원 광명시장, 안성환 광명시의회 의장, 임오경·양기대 국회의원, 최민·김용성·조희선 도의원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광명시 1.5°C 기후의병은 지구 온도 1.5℃ 상승을 막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기후 행동을 실천하는 광명시민들로 약 1000여 명이 활동 중이다.
유럽연합 기후 행동 친선대사로 활동 중인 방송인 줄리안의 ‘우리가 탄소중립을 이뤄내야 하는 이유’ 기조연설 뒤 김 지사와 참석자들은 소통 토크를 통해 ‘경기도 탄소중립 정책 추진전략과 과제’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았다.
한 광명시민은 "경기도에서 환경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시민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이 있는지, 없다면 지원해줄 수 있는지 답변해달라"고 요청했다.
![]() |
▲28일 오후 광명 새빛공원에서 열린 광명시 ‘기후위기 대응’ 주제 맞손토크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박승원 광명시장, 줄리안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
경기도 기회기자단으로 활동하고 있는 광명시 안현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도지사님 개인은 환경보호를 위해 어떤 실천을 하고 있나"는 질문에는 "과거 비영리 사단법인을 만들어 플로깅(조깅하며 쓰레기 줍기) 캠페인을 하기도 했고 광교산을 걸으면서 쓰레기를 줍는다든지, 텀블러나 머그컵을 쓰고 있다"고 했다.
그는 그러면서 "정책적으로는 환경국을 기후환경에너지국으로 개편하고 RE100을 추진하고 있다. 먼저 도청과 공공기관부터 RE100을 하고 기업과 도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열심히 추진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자신을 미래경영청년네트워크 부대표라고 소개한 청년은 "청년들은 이제 기후 위기가 생사로 와닿는 문제여서 많은 걱정을 하고 있는데 청년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환경 정책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는 부분이 있나"라고 물었다.
이에 김 지사는 "경기도에서 200명의 청년이 활동하는 청년자문단이 있는데 자신이 원하는 분야의 정책개발을 해서 제안하는 역할을 하고 경기도가 그 정책에 예산을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며 "또 올해 청년기회 패키지 사업을 통해 500명 정도를 뽑아서 자기가 하고 싶은 일과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청년 갭이어’를 시행한다. 만약 청년 중에서 기후변화나 환경 활동에 뜻이 있다면 거기에 지원을 하면 된다"라고 설명했다.
![]() |
▲28일 오후 광명 새빛공원에서 열린 광명시 ‘기후위기 대응’ 주제 맞손토크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박승원 광명시장, 양기대 국회의원, 임오경 국회의원, 김용성 경기도의원, 최민 겸기도의원, 경기도민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경기도 |
맞손 토크와 함께 새빛공원에서는 제78회 식목일을 앞두고 광명시 1.5°C 기후의병과 함께하는 탄소중립 나무 심기도 진행됐다.
새빛공원은 오는 10월 ‘2023년 경기정원문화박람회 개최 예정지’로, 수목 생육이 불량한 도시공원을 리모델링해 건강한 도시 숲을 조성할 예정이다.
한편 도는 ‘도민, 기업 상생형 탄소중립 정책 추진을 통한 새로운 기회 창출’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2030년 온실가스 40% 감축, 2050년에는 완전한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기=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sih31@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