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정복 인천시장 사진제공=인천시 |
유 시장은 이날 자신의 SNS에 올린 글을 통해 이같이 언급하면서 "야당이 거대의석수로 밀어붙인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쌀값보단 ‘푯값’을 잡겠다는 심사와 의도가 담겨 있다"고 반발하면서 야당을 향해 쓴소리를 날렸다.
유 시장은 글에서 "쌀값은 반드시 안정돼야 한다"며 재차 강조하고 "그러나 야당이 거대의석수로 밀어붙인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쌀값보단 ‘푯값’을 잡겠다는 심사 같다"고 일침을 가하며 직격했다.
유 시장은 이어 "매년 1조원이 넘는 예산을 쏟아도 쌀값이 떨어진다는 국책기관의 연구결과와 농민단체의 법안 원점 재검토 요청도 깡그리 무시했다"면서 "문재인 정부도 반대한 쌀 의무매입을 정권이 바뀌자마자 힘으로 찍어낸 이유가 무엇입니까?, 대통령의 거부권을 유도해 농업인들이 정부를 불신하도록 만들겠다는 생각입니까?라고 자문자답했다.
유 시장은 그러면서 "쌀까지 당리당략에 이용하지 마십시오"라고 야당을 향해 엄중히 경고했다.
유 시장은 아울러 "제가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에 취임했을 때도 쌀값이 문제였다"며 "시장의 쌀 수급 상황을 살피며 매입량을 조절하는 한편, 쌀 소비 정책 등 다양한 방법을 강구해 그 당시에 쌀값 안정화 조치를 했던 경험이 있다"고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유 시장은 또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은 30년 전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면서 "쌀보다 육류 소비가 많아지는 상황으로 쌀값 하락의 원인은 시장에서의 수급 불균형이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쌀값 하락 원인을 진단했다.
![]() |
▲유정복 인천시장 사진제공=페북 캡처 |
유 시장은 끝으로 "인천시의 경우는 지난 연말부터 캐나다에 강화섬 쌀을 수출하는 획기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앞으로도 수출 확대와 함께 국내 소비처 발굴 등 다양한 방식으로 쌀값 안정화 조치를 시행할 것"이라며 "정부가 쌀 수급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인천시부터 앞장서 힘을 모으겠다"고 강조했다.
인천=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sih31@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