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유라

ys106@ekn.kr

나유라기자 기사모음




5월 개인 신용대출 대환대출 플랫폼 나온다..."소비자 부담 경감"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3.09 17:13
금융위

▲금융위원회가 오는 5일 신용대출 대상 대환대출 인프라를 구축한다.(자료=금융위)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금융위원회가 오는 5월 금융소비자가 신용대출을 더 낮은 금리의 대출로 갈아탈 수 있는 대환대출 플랫폼을 내놓는다.

금융위원회는 오는 5월 신용대출 대상 대환대출 시스템을 선보인다고 9일 밝혔다.

해당 플랫폼은 53개 금융회사, 23개 대출비교 플랫폼이 참여한다.

플랫폼이 나오면 금융소비자는 은행 19곳, 저축은행 18개, 카드 7개, 캐피탈 9개 등 주요 금융사의 신용대출을 다른 대출로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대출비교 시장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23개 대출비교 플랫폼은 핀테크, 빅테크, 금융회사 등 다양한 사업자가 참여한다. 제휴범위와 금융서비스 간 연계, 신용평가 모델 등을 통해 이용편의와 접근성 제고를 위한 경쟁을 유도한다는 게 금융당국의 구상이다.

다수의 플랫폼 사업자가 참여함에 따라 비은행권 대상 중개 수수료가 기존 대비 인하될 것으로 당국은 기대했다.

당국은 유의미한 공시결과를 위해 플랫폼 중개건수가 일정 기간 누적된 이후 공시를 시작하고, 해당 기간 동안 플랫폼별 수수료율 현황을 지속적으로 개별 점검한다.

현재는 금융소비자가 플랫폼에서 기존 대출의 원리금 같은 일부 정보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플랫폼은 중도상환수수료, 상환가능여부까지 미리 파악한 후 대환대출을 신청할 수 있다.

당국은 연내 대출금의 규모가 크고 국민 대다수가 이용하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의 간편한 대출이동을 위한 인프라도 구축한다. 다만 주담대의 대환대출은 금융결제원 시스템을 통해 전산화가 가능한 대출금 상환 외에도 등기 이전에 필요하다. 이로 인해 금융사 간에 모든 절차를 온라인으로 구현하는 것은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에 당국은 금융소비자가 온라인으로 주담대 상품을 비교하고 대환대출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인프라를 우선 구축하는 등 소비자 편의를 개선할 수 있는 추진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ys106@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