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IRA 우회했다"…中 CATL, 포드와 손잡고 미국 첫 진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2.14 10:55
2023021401000720100031921

▲포드 전기차 머스탱 마하-E(사진=AP/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미국의 포드 자동차가 중국 전기차 배터리 업체인 CATL과 손잡고 미국에서 배터리 생산공장을 설립하기로 했다.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포드는 35억 달러(약 4조 5000억원)를 투자해 CATL과 합작으로 회사를 설립한 뒤 디트로이트에서 160km 떨어진 미시간주 마셜에 배터리 공장을 세우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2500명의 고용효과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 이 공장은 2026년에 완공될 예정이며 연간 40만대 분량의 배터리가 생산될 것으로 전해졌다.

리사 드레이크 포드 부회장은 "CATL은 협력 과정에서 중국에서 생산된 배터리 제조설비를 설치할 것"이라며 "도움이 필요하기 때문에 CATL 직원 일부는 미시간 공장에 영구 배치될 것"이라고 말했다.

포드는 오는 2026년까지 세계적으로 1년에 200만대의 전기차를 생산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연 200만대의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의 70%를 자체적으로 확보한다는 것이 포드의 목표다.

이와 관련해 포드의 빌 포드 회장은 "미국에서 배터리를 생산하는 것은 배터리 독립에 더 가까워질 것"이라며 "우리가 직접 배터리를 만들 수 있도록 CATL은 속도를 내줄 것"이라고 말했다.

CATL은 또 중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생산하는 기술력을 제공할 예정이다. 완공될 경우 미국에서 LFP 배터리를 생산하는 첫 공장이 될 전망이다.

LFP 배터리는 미국과 유럽에서 사용되는 니켈코발트(NCM) 배터리에 비해 성능은 떨어지지만 생산비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짐 팔리 포드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합작의 목표는 전기차 생산비를 낮추는 것"이라며 "LFP는 가장 저렴한 배터리 기술"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포드는 공장이 완공되기 전까지 CATL로부터 LFP 배터리를 조달받아 올 하반기엔 전기차 머스탱 마하-E, 내년엔 F-150 라이트닝 픽업트럭에 탑재할 계획이다. 현재 CATL로부터 LFP 배터리를 조달받는 전기차 제조업체는 테슬라, 혼다 등이 있다.

최근 독일에 배터리 공장을 세운 CATL은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2위인 LG 에너지솔루션과의 시장점유율 격차도 20%포인트까지 벌어진 상태다.

현재 CATL은 중국 등 아시아와 유럽에 모두 13개의 공장을 운영하고 있지만, 미국에 공장을 세우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 정치권에선 이번 합작 발표에 대한 곱지 않은 시선도 나온다. CATL과 포드는 공장 부지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당초 버지니아주를 유력한 지역으로 꼽았다. 그러나 2024년 미 대선 후보로 거론되는 공화당 소속 글렌 영킨스 버지니아 주지사는 CATL을 미 자동차산업을 약화시키는 ‘트로이의 목마’라고 비판하면서 버지니아주에 합작법인 설립을 반대했다.

하지만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 주지사는 영킨의 입장을 "정치적인 계산"이라고 비판했고 드레이크 부회장 역시 "영킨스 주지사에게 오해의 소지가 있는 것 같아 유감"이라고 말했다.

포드와 CATL의 배터리 공장 설립 발표를 계기로 조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 견제용으로 내놓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또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IRA는 중국에서 생산되거나 중국 자본이 투입된 부품과 이를 사용해 제조된 전기차는 세액공제 혜택에서 제외된다. 또 혜택을 받으려면 전기차가 미국에서 최종 조립되고 북미산 배터리 부품이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포드가 공장 지분 100%를 갖기 때문에 IRA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드레이크 부히장은 "포드가 공장의 제조, 생산, 근로자 등을 모두 통제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기술력을 확보한 BYD 등 중국 업체들이 앞으로 IRA를 우회하면서 북미에 잇달아 진출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감도 고조되고 있다. 이는 북미 시장에서 점유율 확대를 노리고 있는 국내 업체들에게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포드 주가는 이날 발표로 전일대비 2.83% 상승 마감했다. 올 들어 포드 주가는 12% 가량 상승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