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 |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자녀의 세뱃돈 적정 금액이 10년 만에 2~3배 올랐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부모님께 드릴 명절 용돈으로는 30만원을 선택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한화생명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설날 및 세뱃돈’ 관련 설문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이번 설문은 이달 9일부터 일주일간 사내 시스템을 통해 한화생명 및 한화생명금융서비스 임직원 2096명이 참여했다.
우선 ‘올해 설 연휴 계획’에 대한 질문에 가장 많은 답변은 가족 모임 및 방문이 57%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집콕(무계획)이라는 답변도 28.0%에 달해, 코로나 엔데믹이라 해도 별다른 계획 없이 집에서 보내려는 응답자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어 국내여행(9.5%), 해외여행(3.8%) 순이었다.
‘부모님께 명절 용돈을 드린다면 얼마를 드릴 예정인가?’라는 질문에는 ‘30만원’이 대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30만원을 선택한 응답자가 36.2%로 가장 많았고, 20만원(26.6%), 50만원(23.5%), 50만원 초과(9.7%), 10만원 이하(1.9%) 순으로 나타났다. 계획이 없다는 답변도 2.1%였다.
‘올해(2023년) 세뱃돈 적정금액’은 초등학생 이하 3만원, 중학생 5만원, 고등학생 및 대학생 10만원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 |
▲한화생명은 이달 9일부터 일주일간 사내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날 및 세뱃돈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에는 한화생명, 한화생명금융서비스 임직원 2096명이 참여했다. |
한화생명은 10년 전인 2013년 1월에도 임직원 905명을 대상으로 ‘세뱃돈 적정금액’ 설문을 진행한 적이 있다. 이 당시는 초등학생 이하 1만원, 중학생 3만원, 고등학생 및 대학생 5만원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10년 만에, 유아 및 초등학생의 세뱃돈은 1만원에서 3만원으로 상승했고, 중학생은 3만원에서 5만원, 고등학생 및 대학생도 5만원에서 10만원으로 올랐다. 그러나 10년전이나 지금이나, 고등학생과 대학생에게 주는 세뱃돈 수준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특히 ‘자녀의 세뱃돈을 부모가 사용한 적이 있나?’ 질문에 ‘있다’ 답변이 51.9%를 차지해, 절반 이상이 자녀의 세뱃돈을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눈에 띄는 점은 ‘있다’고 답변한 응답자 중 남성(44.1%)이 여성(35.0%) 보다 9.1%나 높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전체 설문 응답자의 비중은 남성(41.4%)보다 여성(58.6%)이 많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아빠가 엄마보다 자녀들의 세뱃돈을 사용한 경험이 많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있다면, 현재까지 얼마나 사용했나?’ 질문에는 30% 미만(46.4%), 30%~50% 미만(19.3%), 50%~70%(13.2%) 등으로 조사됐다. 모두 다 사용했다는 답변 비중도 13.5%에 달했다.
‘세뱃돈을 관리한다면, 선호 금융상품은?’ 질문에는 예?적금(72.3%)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식?채권 등 직접투자(14.7%), 보험(5.8%), 간접투자(5.7%) 등으로 답변했다.
이명열 한화생명 투자전문가는 "예·적금을 선호한다는 것은 자녀의 세뱃돈을 쉽고 간편하게 관리하고 싶다는 뜻인데, 소액일지라도 장기로 운용하는 세뱃돈의 특성상 보험이 적합한 금융상품이 될 수 있다"며 "자녀의 진학시기, 독립시기 등 라이프사이클을 고려해 세뱃돈으로 자녀를 위한 종잣돈을 마련해 볼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