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다니엘

daniel1115@ekn.kr

김다니엘기자 기사모음




[규제지역 그 옆 上] 지역적 강점 "의미 없어"…강동·동작구 ‘거래절벽’ 여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1.16 16:05

강남3구 인근 강동·동작구, 1·3대책으로 간접효과 기대



강동구, 둔촌주공·교통 호재 있지만 반등 신호 無



전문가 "당분간 반등 어려울 것"

KakaoTalk_20230116_155519612

▲강남3구 인근에 위치해 1·3대책 이후 지역적 강점으로 인한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예상됐던 강동구의 한 아파트 전경. 김다니엘 기자


정부가 지난 3일 발표한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으로 인해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 및 용산구를 제외한 전국 모든 지역이 규제지역에서 해제됐다. 이들 지역을 제외한 곳에서는 세제, 대출, 청약, 거래 등 집을 사고파는 모든 과정에서 혜택을 얻을 수 있다. 규제지역인 강남3구 인근 강동구와 동작구, 용산 인근 마포구와 성동구에 1·3대책 이후 어떤 반응이 있는지 상하에 걸쳐 알아봤다.<편집자주>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주택 시장 경착륙을 막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강남3구 및 용산구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규제지역에서 해제되면서 거래절벽 현상이 해소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 중 유일하게 해제 대상에 포함된 강동구와 서초구 인근 동작구는 이로인한 ‘스필오버’(spillover)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6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1·3대책 이후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 포레온(둔촌주공 재건축)’에 대한 수요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으며 17일까지 이어지는 정당계약 기간 동안 100% 계약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전국 단위로 무순위 청약이 가능해져 이에 대한 관심은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지난해 말 분양시장의 블루칩이자 강동구 대장주로 기대를 모았던 둔촌주공은 초라한 성적을 기록하며 흥행에 실패했다. 하지만 1·3대책으로 인해 전용면적과 무관하게 중도금 대출이 가능해졌고 실거주의무가 사라졌으며 전매제한 또한 1년으로 줄어 수요자들의 문의가 늘어나고 있다.

여기에 최근 중앙보훈병원역에서 고덕강일1지구를 잇는 지하철 9호선 4단계 연장 구간이 착공에 들어가고 5단계 연장 사업 또한 향후 진행될 것으로 예상돼 지역적 교통 호재 또한 이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올해는 부동산 하락세가 멈추고 강동구 아파트 가격이 반등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곳곳에서 커지고 있다.

강동구 둔촌동 내 A 공인중개소 관계자는 "이번 대책 이후 둔촌주공에 대한 당첨자들과 수요자들의 문의가 눈에 띄게 늘었다"며 "둔촌주공에 대한 관심이 인근 아파트들에도 번지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1·3대책으로 분위기가 한 번에 반등되지는 않겠지만 호재가 이어지는 만큼 향후 가치 상승을 생각한다면 지금이 강동구에 아파트를 매입할 적절한 시기"라고 덧붙였다.

반면 커져만 가는 기대감과는 반대로 1·3대책 이후 아직까지 강동구에서 뚜렷한 부동산 상승세의 신호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아파트 실거래가 빅데이터 아실 통계에 따르면 이날 기준 강동구 아파트 매물 건수는 지난 9일에 비해 2.5% 증가했다. 이는 ‘역전세난’·‘금리인상’ 등 악재로 시장에 쏟아지고 있는 급매물이 증가했다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여기에 1·3대책 이후 강동구 내 아파트 거래량은 총 5건에 불과했으며 이 중 강동구 암사동 정산아파트는 지난 11일 2020년 기록한 최고가 대비 47% 급락하면서 5억원에 거래됐다.

강남3구와 중 하나인 서초구 인근 동작구의 상황도 마찬가지이다. 지난 3일 이후 동작구에서 거래된 아파트 건수는 2건에 불과했으며 매매계약과 같은 날 전세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미뤄봤을 때 이 중 한건은 투자를 목적으로 한 ‘갭투자’(전세끼고 매매)로 추측된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강동·동작구의 부동산 분위기 전환은 어렵다는 점을 시사했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은 "강남3구와 인접한 위치적 강점으로 인해 1·3대책 이후 강동·동작구에 대한 문의가 늘어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도 "집값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있었다면 강동·동작구가 규제 완화로 인한 간접효과로 수혜를 입을 수도 있겠지만 지금은 투자수요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 소장은 이어 "가치 상승에 대한 확신이 없으니 급매물만 소화되고 관망세는 길어지는 것"이라며 "집주인들은 규제 완화로 매물을 회수하거나 호가를 올리고 있어 당분간 반등은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daniel1115@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