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MDPS 무상교체 대상 쏘나타. 사진제공=현대차 |
현대차가 진행 중인 전동식 파워스티어링(MDPS) 부품의 무상교체대상 차량이 207만대가 넘는다. 여기에 기아차까지 더하면 무상교체 대상 차량은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실제로 무상교체 대상 여부를 알기 위해 걸려온 전화로 현대·기아차 정비센터는 연일 북새통을 이루는 실정이다. 특히 소비자들 사이에선 현대·기아차가 초유의 리콜 사태를 막기 위해 ‘무상교체’ 카드를 난데없이 들고 나온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증폭되고 있다. 그야말로 ‘안티 현대차’ 불길 확산에 기름을 들이붓는 형국이다.
22일 본지가 한국자동차산업협회가 펴낸 2006년~2014년 자동차 월보를 조사분석한 결과 현대차의 MDPS 부품 교체 대상 차량은 총 8종, 207만4196대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본지 단독보도([단독] 현대차 MDPS 결함…현대모비스가 제공, 2016년 2월19일자 2면 참조)로 MDPS 부품 교체를 야기한 대상이 현대모비스 제품으로 밝혀졌지만 차량 해체를 하지 않는 이상 제품 브랜드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207만대 이상이 모두 정비센터를 찾아 점검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현대차가 현재 2300여개소(2015년 9월 18일 기준·판금, 도장 등이 불가능한 정비업체 포함)의 서비스 네트워크를 갖췄다 할지라도 207만대 이상을 점검하려면 서비스센터 1곳이 손봐야 할 차량은 900대 이상이다. 결국 무상교체 판정 여부를 알기 위해 들어가는 모든 불편은 차주 몫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 22일 소비자들에 따르면 현재 현대·기아차에 정비센터에는 MDPS 부품 교체 대상 차종을 확인하기 위한 소비자들 전화로 북새통을 이루고, 통화조차 여의치 않다고 한다.
여기에 기아차까지 보태질 경우 점검 물량은 더욱 커지고 정비센터 혼란이 더욱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헌데 기아차는 웬일인지 무상교체와 관련해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기아차 차주들은 이런 태도에 강한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설령 점검 때문에 시간 낭비를 할지라도 안전운전이 우선이란 생각이 강하기 때문이다.
상황이 묘하게 흘러가자, 현대차가 느닷없이 무상교체를 들고나온 배경에 대해 소비자들 사이에선 강한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리콜 명령을 받기 전에 선수를 치고 나왔다는 얘기다. 무상교체는 리콜과 달리 이미 수리한 경우 수리비를 돌려주지 않는다. 현대차는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라는 전제 아래 안전과는 무관한 결함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소음 발생, 차체 흔들림 등 MDPS 논란이 강하게 일자 국토부 산하기관이 2년간 현대차 MDPS 조사를 해온 사실이 본지 보도로 밝혀진 바 있다.
게다가 전문가들은 MDPS 무상교체의 실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리콜을 실시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호근 대덕대(자동차학과) 교수는 "리콜과 비교해 무상교체는 대상 차주들이 해당 사실을 인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며 "업체가 소비자 입장에서 생각한다면 리콜을 실시하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
현대·기아차 MDPS 무상교체 논란이 일파만파 번져나가자 그동안 침묵으로 일관하던 국토교통부 역시 자세가 전향적으로 바뀌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일단 검토를 해봐야 알겠지만, 리콜 실시 등 적극적으로 현대차를 압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가 소비자 편의와 안전을 고려해 리콜을 명령하면 현대차는 무상교체를 리콜로 돌릴 수밖에 없다. 국내에서 최대 리콜을 기록한 업체는 폭스바겐그룹으로 배출가스 조작과 연관된 12만1038대가 리콜을 앞두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김양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