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기령

giryeong@ekn.kr

김기령기자 기사모음




역세권 청년주택, 수요 몰리지만 높은 임대료 논란 여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1.16 15:00

자격 조건 낮고 서울 역세권 거주 가능
전용 17㎡ 월세 41만원…좁은데 임대료 비싸
시세 수준 고임대료에 “당첨돼도 걱정”

포레나당산

▲다음 주 청약 접수에 들어가는 서울 영등포구의 한 역세권 청년주택. 사진=김기령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서울의 한 빌라에 전세로 거주 중인 이 모씨는 역세권 청년주택이 시세보다 저렴하다는 지인의 말을 듣고 신청해 원룸형 청년주택에 당첨됐다. 하지만 계약을 앞두고 고민이 많아졌다. 현재 거주 중인 빌라의 전세자금대출 이자가 30만원인데 청년주택 월세는 41만원이라서다. 이씨는 "역세권에 신축이라 그런지 생각보다 비싸서 놀랐다"며 "오피스텔이기 때문에 관리비도 10만원은 나온다던데 이사를 가게 되면 매월 들어가는 주거비용이 더 늘어나는 셈"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금리 인상기에 접어들면서 2030세대를 중심으로 주택 매수보다는 서울 역세권에 거주하면서도 목돈을 모을 수 있는 역세권 청년주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좁은 면적 대비 높은 임대료에 대한 불만이 끊이지 않고 있어 보완이 필요하단 지적이 나온다.

16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역세권 청년주택은 서울시와 SH(서울주택도시)공사가 대중교통이 편리한 역세권에 청년, 신혼부부의 주거안정을 위해 공공임대와 민간임대 주택을 시세 대비 저렴하게 제공하는 주거사업이다.

신청자격은 일반공급의 경우 만 19세 이상 만 39세 이하이면서 자동차를 소유하지 않은 무주택자일 경우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특별공급은 앞선 조건에 소득 기준이 월평균 소득의 120% 이하, 본인 자산 가액(2억8800만원 이하) 조건이 추가된다. 두 공급유형 모두 청약통장 유무는 상관없으며 당첨 시 최대 8년까지 거주 가능하다.

임대료는 공공임대의 경우 주변 시세 대비 30% 수준으로 저렴하지만 민간임대는 주변 시세 대비 최대 85% 수준이다. 민간임대 당첨자들 사이에서 체감상 역세권 청년주택 임대료가 저렴하지 않다는 반응이 나오는 이유다.

각종 부동산 커뮤니티에는 "역세권 청년주택 민간임대에 당첨됐는데 임대료가 비싸서 계약 여부가 고민된다"는 내용의 글들이 종종 게재되기도 한다.

역세권 청년주택의 임대료는 주변 구축과 비교했을 때 가격만 놓고 보면 큰 이점이 없다. 또 다른 임대주택인 LH(한국토지주택공사) 행복주택의 경우 대부분 아파트 형태의 주거유형으로 공급되지만 역세권 청년주택은 오피스텔 유형이다. 민간에서 용적률 인센티브 등을 적용받기 위해 역세권 청년주택 형태로 오피스텔을 짓고 임대를 주는 구조다. 이러한 구조적 한계 때문에 청년주택의 가구 수도 아파트 임대주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

이날 입주자 모집 공고를 내고 다음 주 민간임대 청약 접수를 받는 영등포구 당산동 첫 역세권 청년주택 ‘포레나당산’의 경우 청년형(일반공급) 17㎡의 임대료는 기본 보증금 6500만원에 월세 41만원이며 임대보증금을 50%로 높였을 때 보증금 8100만원에 월세 34만원 수준이다. 해당 단지 내 가장 넓은 면적인 신혼부부형(일반공급) 41㎡는 기본 보증금 1억3300만원에 월세 71만원이며 보증금을 50%로 높이면 보증금 1억6600만원에 월세 59만원에 달한다.

영등포구 내 A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임대료가 엄청 저렴하다고 볼 순 없지만 주변에 동급 신축 오피스텔이 없기 때문에 단순히 임대료만 놓고 비교하기 힘들다"며 "시세와 비슷하다고 하더라도 신축인데다가 라운지, 도서관 등 시설을 갖추고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시에서 지원해주는 저금리 대출 지원까지 받으면 금액 부담을 낮출 수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임대료 논란을 가라앉히고 입주자의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서울시는 역세권 청년주택 금융지원책을 시행 중이다. 서울시는 역세권 청년주택 민간임대 입주자에 한해 보증금의 최대 50%를 무이자로 지원하고 있다. 최대 지원금액은 청년이 4500만원, 신혼부부는 6000만원이다. 1.2% 수준의 저금리를 적용한 버팀목 대출도 받을 수 있다. 월세는 최대 10개월 동안 월 20만원씩 지원 가능하다. 서울시는 오는 2026년까지 역세권 청년주택 약 6만5000가구(준공 기준)를 추가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giryeong@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