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 |
[에너지경제신문=성우창 기자] 최근 주요 시중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는 금융소비자 가운데 70% 이상이 고정금리를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과 몇달 전까지만 해도 변동금리 대출자가 많았지만 분위기가 바뀌었다. 미국·한국의 금리 인상 기조가 당초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은행들도 변동금리 비중을 줄이기 위해 고정금리 수준을 의도적으로 낮췄기 때문이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의 지난달 신규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약 90%가 고정금리를 조건으로 이뤄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작년 말의 경우 고정금리 비중이 20% 정도에 불과했는데, 최근 수개월 사이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이 크게 늘었다"며 "최근 실행되는 주택담보대출의 대부분은 고정금리"라고 밝혔다.
이처럼 고정금리 인기가 높아진 데는 금융소비자들의 ‘긴축 체감’뿐 아니라 변동금리와의 격차 축소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일반적으로 장기물 채권과 연동된 고정금리는 미래 불확실성 탓에 변동금리보다 높은 경우가 많다.
하지만 11일 기준 KB·신한·하나·우리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코픽스 기준)는 연 5.180∼7.711%, 고정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5.300∼7.273% 수준이다. 하단의 차이가 0.12%포인트에 불과하고, 상단은 오히려 변동금리가 0.438%포인트나 높다.
심지어 5대 은행 가운데 A은행의 경우, 변동금리의 상단(7.711%)과 하단(6.411%)이 모두 고정금리(7.273%·5.973%)를 넘어선 상태다.
다만 내부 금리 정책 등에 따라 고정금리가 아직 0.2∼0.3%포인트 정도 더 높은 일부 은행에서는 아직 변동금리 비중이 더 크다. 금리 상승기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을 덜어주는 차원에서 금융당국도 고정금리 대출을 독려하고 있기 때문에, 은행들이 우대금리 등을 통해 고정금리를 낮춘 것도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실제로 우리은행의 경우 고정금리 대출로 인정받는 5년 주기 변동금리에 지난 5월부터 특별 우대금리 연 0.6%포인트를 적용하고 있다. 하나은행도 고정금리 대출을 유도하기 위해 고정금리를 추가 우대금리만큼 깎아주고, 신한은행은 이례적으로 고정금리 조건부(금융채 2년물 지표금리) 전세대출 상품까지 내놓고 지난 9월 일괄적으로 고정금리를 0.3%포인트씩 낮췄다.
최근 금리상한형 주택담보대출 신청이 늘어나는 것도 그만큼 향후 추가 금리 인상과 통화 긴축의 위험을 절감하는 금융소비자가 많아졌다는 뜻이다. 5대 시중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은 지난달 모두 259건, 570억원어치의 금리상한형 주택담보대출을 판매했다. 9월(187건·387억원)보다도 금액이 47%나 늘었다. 이달 들어 11월까지도 이미 357억원(167건)어치가 팔려 월 판매 규모가 5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최근 대출자들의 금리 선택 행태가 뚜렷하게 바뀐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기존 대출을 포함한 전체 가계대출 기준으로는 여전히 변동금리 조건 대출이 지나치게 많은 상태다. 한은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현재 예금은행 가계대출 잔액 가운데 21.5%만 고정금리를 따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고정금리 비중이 2014년 4월(23.8%) 이후 8년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5대 시중은행의 금리상한형 주택담보대출 판매액(작년 7월 출시 이후)은 모두 2598억원(1202건) 정도다. 최근 늘고 있다고 해도, 5대 은행 전체 변동금리 가계대출 규모인 520조2356억원(10월말 기준 잔액 693조6475억원×변동금리 비중 약 75%)의 약 0.05%에 불과하다.
su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