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금리인상 속도조절’ 탄력받나?…"현재 기준금리 5.25% 상응 효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1.08 13:49
USA-FED/JOBS

▲제롬 파월 미 연준의장(사진=로이터/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긴축 효과가 지난 9월 기준으로 기준금리 5.25%에 상응하는 수준에 이르렀다는 연준 연구진의 추정이 나왔다. 이달 단행된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까지 반영하면 미국의 실질적인 기준금리 수준이 6%에 달했다는 의미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연은) 연구진들은 미국의 통화정책 수준이 공식적인 기준금리만 봤을 때보다 훨씬 긴축적일 가능성이 있다고 7일(현지시간) 분석했다.

연준은 올해 3월부터 9월까지 0.25%이던 기준금리 상단을 3.25%로 끌어올렸고, 이번 달에도 또다시 금리를 0.75%포인트 올려 4.0%로 만든 상태다.

연구진은 차기 금리 향방에 대한 연준의 사전안내(포워드 가이던스)와 대차대조표 축소(양적긴축·QT) 등의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와 신용 스프레드 등의 변수를 포함해 대용물(proxy) 금리를 추정했다.

그 결과 9월 발표된 기준금리보다 약 2%포인트 높은 5.25%로 금리 수준이 나왔다는 것이다.

연준은 2020년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후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국채·주택저당증권(MBS) 매입을 통해 보유 자산을 약 9조달러(약 1경 2000조원)로 늘리면서 시중에 막대한 유동성을 공급했다가 올해 6월 양적긴축에 돌입했다.

9월부터는 긴축 속도를 끌어올려 매달 국채 600억달러와 MBS 350억달러 등 950억달러(약 131조원)의 보유 자산에 대해 만기가 도래하면 재투자하지 않는 방식으로 유동성을 줄이고 있다.

또 연준이 3월 금리 인상을 시작하기 수개월 전부터 금리 인상 필요성을 언급하고 물가 안정 의지를 밝히는 식으로 시장에 구두 개입하면서 금리 인상이 시장에 미리 반영됐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연준 일부에서는 지나치게 빠른 기준금리 인상과 과도한 긴축으로 경제가 침체에 빠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과도한 긴축과 불필요한 노동시장 타격을 우려해 금리 인상 속도 조절론을 지지해왔다.

연준도 이번 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성명에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하면서도 앞으로 통화긴축 정책의 누적된 효과와 경제 영향의 시차를 고려하겠다며 금리 인상 속도 조절 여지가 있음을 밝힌 바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