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진수

commun@ekn.kr

이진수기자 기사모음




"美 가계저축 늘어 금리인상 효과 약해질듯"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0.31 14:11

"가계·기업 자금여력 풍부"...기준금리 더 올릴 필요

GLOBAL-FOREX/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이진수 기자]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인상 효과가 약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기간 동안 미국 가계의 저축액이 크게 증가한 탓이다.

연준이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내년 초까지 금리는 4.6%로 올릴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일부에서 이보다 더 높아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이처럼 보도했다.

2020년 시작된 팬데믹 기간 중 미 정부는 가계 보조금을 지원하고 초저금리 유지로 차입 비용을 줄이는 등 재정·통화 부양 정책에 나서 가계 저축이 늘었다.

연준에 따르면 지난해 중반까지 미 가계의 저축액은 총 1조7000억달러(약 2420조원)다. 이는 미 가계가 팬데믹 이전의 소득과 지출 증가 추세에 따라 저축했을 법한 금액을 초과하는 수준이다.

기업과 지방정부도 마찬가지다. 2020∼2021년 기업들은 초저금리에 따라 낮은 차입 비용을 유지할 수 있었다.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투기등급 회사채(정크본드) 가운데 앞으로 1년 안에 만기가 도래하는 분량은 3%뿐, 2025년 이전 만기인 분량도 겨우 8%다.

주정부·지방정부도 현금이 풍부해 세계 금융위기를 전후한 2007∼2009년보다 상황이 훨씬 낫다. 금리 인상에 민감한 주택 시장만 침체를 겪고 있을 뿐 소비자들의 신용카드 잔액은 늘고 있다.

미국의 9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 지수는 전월보다 0.3% 상승해 물가 상승률이 꺾이지 않았음을 보여줬다. 근로자 급여와 각종 혜택을 측정하는 고용비용지수(ECI)도 3분기에 지난해 동기보다 1.2% 올랐다. 급여 상승률이 이처럼 높게 유지된다는 것은 가계가 저축분을 다 써도 계속 지출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연준이 물가 안정 차원에서 기준금리를 더 올릴 필요가 있다고 본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