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시진핑 집권 3기 공식 출범…‘1인 지배 체제’ 열렸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0.23 14:23
CHINA-CONGRESS/LEADERSHIP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집권 3기 최고 지도부(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왼쪽부터) 리시 광둥성 당서기, 차이치 베이징시 당서기, 자오러지 중앙기율검사위 서기, 리창 상하이시 당서기, 왕후닝 중앙서기처 서기, 딩쉐상 중앙 판공청 주임(사진=로이터/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집권 3기를 공식 출범시켰다. 장기 집권 체제를 시작한 시 주석이 자신의 측근 인사 4명을 최고 지도부를 구성했다. 시 주석 중심으로 결정 권한을 집중하는 ‘1인 지배 체제’가 완전히 구축된 셈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23일 발표된 7인의 중국 최고 지도부(중앙 정치국 상무위원회)에는 시 주석과 함께 리창·차이치·딩쉐샹·리시 등 시 주석의 측근 그룹인 이른바 ‘시자쥔(習家軍)’ 인사들과 종전 최고지도부에 몸담았던 왕후닝과 자오러지가 포함됐다.

시 주석은 이날 중국 공산당 총서기 및 정치국 상무위원회(상무위) 구성원을 뽑는 당 20기 중앙위원회 1차 전체회의(1중전회)에서 당 총서기 겸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으로 재선출됐다.

이어 시 주석은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신임 상무위 기자회견에서 선두에 서서 입장한 뒤 리창, 자오러지, 왕후닝, 차이치, 딩쉐샹, 리시 순으로 집권 3기를 함께 이끌 동료 상무위원을 호명했다.

당내 서열을 의미하는 이 순서로 미뤄 상하이시 당 서기를 지낸 리창이 내년 3월 리커창 총리의 후임 국무원 총리로 발탁될 것이 유력해 보인다.

또 자오러지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장, 왕후닝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政協) 주석을 맡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리시는 이날 1중전회에서 중앙기율검사위 서기로 선출됐고, 중앙 서기처 서기와 부총리 자리를 차이치와 딩쉐샹이 각각 맡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25명으로 구성된 중앙정치국에도 황쿤밍 당 중앙선전부장과 천민얼 충칭시 당 서기, 장여우샤 중앙군사위 부주석 등 시 주석의 측근들이 여럿 포함됐다. 왕이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정치국 위원으로 승진했다

반면 공청단(공산주의청년단)파의 차세대 주자로 주목받아온 후춘화 부총리는 정치국 상무위 진출에 실패한 것은 물론 정치국 위원으로도 뽑히지 못했다.

이로써 최고 지도부는 시 주석과 시 주석의 복심 인사들로 채워지고, 상하이방(上海幇·상하이 출신 정·재계 인맥)과 공청단파 등 타 파벌은 사실상 ‘전멸’했다.

결국 시 주석은 자신 중심의 독보적이고 집중적인 ‘원톱’, ‘원팀’의 권력기반을 구축하며 총 임기 15년 플러스 알파의 장기 집권 체제의 문을 열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