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소활용 삼중열병합 연료전지 개념도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20~21일 2일간 서울 송파구 소피텔앰배서더서울에서 연료전지 기술위원회(IEC/TC 105) 회의를 갖고 이같은 방안을 논의한다.
이번 회의에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비대면),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일본, 중국 등 연료전지 기술 국제표준 개발을 주도하는 13개국 40여명이 참석한다.
참석자들은 연료전지 스택(수소와 공기를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의 평가 방법에 대해 합의를 도출할 방침이다.
또 건설기계용·대형수송용 연료전지 제품이 시장에 원활히 진입할 수 있도록 성능 평가 방법을 국제표준으로 제정해 나가기로 했다.
우리나라는 신규 국제 표준 제안으로 수소를 활용한 삼중 열병합 연료전지와 사용 후 연료전지의 스택에 대한 성능 평가 방법을 발표한다.
수소 활용 삼중 열병합 연료전지에 대한 평가는 기존에 삼중 열병합 연료전지가 전기·온열·냉열 세 가지를 생산하는 것 외에 정제된 수소까지도 생산하는 차세대 연료전지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사용 후 연료전지 스택에 대한 성능 평가는 수소차용이나 건물용 연료전지 등에서 사용된 연료전지 스택을 회수한 뒤 잔존 가치를 평가해 재사용을 돕는 표준안이다.
이상훈 국표원장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차세대 연료전지 기술 개발과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수소 연료전지 R&D 결과들을 연계해 국제표준을 제안하고 있다"면서 "수소 기술 분야 국제회의, 콘퍼런스 개최 등 국제표준 협력 활동을 강화해 국내 전문가들의 국제표준화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우리의 기술을 국제표준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axkj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