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탈석탄법 제정을 위한 시민사회연대’는 6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탈석탄법 제정을 위한 논의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발언하고 있다. 사진=오세영 기자 |
청년, 노동, 종교 등 다양한 시민사회단체들이 모인 ‘탈석탄법 제정을 위한 시민사회연대’는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탈석탄법 제정을 위한 논의를 시작하라"며 기자회견을 열었다.
시민사회연대는 여아가 탈석탄법 제정을 당론으로 정하고 조속히 입법 논의를 시작해 석탄발전 건설 철회를 위한 법제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시민사회연대는 국회 국민동의청원에 ‘신규 석탄발전소 철회를 위한 탈석탄법 제정에 관한 청원’을 낸 바 있다. 해당 청원은 지난달 정족수인 5만명 동의를 얻어 국회 소관위원회의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회부됐다.
이다예 녹색연합 활동가와 이영경 에너지정의행동 사무국장은 "이번 청원 달성은 신규석탄발전 철회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는 사실에 대한 전국민적 동의"라며 "정부와 국회가 사태를 수수방관해서는 안 된다는 시민들의 경고를 깨달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구온난화 1.5도 방지 목표 달성을 위해 기존 석탄발전소도 꺼야하는 상황에서 새 석탄발전소를 짓는 건 대체 누구를 위한 사업인가"라고 물으며 "건설을 취소하고 싶어도 법적 근거가 없다는 것이 이유였는데 이제 법적 근거를 만들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성원기 삼척석탄화력반대투쟁위원회 공동대표는 "(청원 달성은) 5만 입법 청원서명인 뿐 아니라 기후위기 시대에 신규로 새로 짓는 석탄발전소를 무조건 철회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하는 전 국민의 승리"라며 "우리 5만 청원서명인은 실제로 탈석탄법이 국회에서 통과될 때까지 국회가 일하도록 전 국민과 함께 국민으로서 유권자로서 마음을 다해 행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여진 기후솔루션 캠페이너는 "세계 여러 국가가 탈석탄을 향해 달려가는데 우리나라는 석탄발전을 건설하고 폐쇄되는 석탄 발전을 가스 발전으로 대체하려 한다"며 "각 정당이 신규 석탄발전 건설 중단을 당론으로 정하도록 국회를 계속 압박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