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로벌 유통소매기업 톱 250 |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딜로이트 글로벌이 발간한 ‘글로벌 유통파워기업’(Global Powers of Retailing) 10년치(2010∼2020년)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2010년과 2020년 각각 상위 250위 유통기업에 포함된 무점포 소매기업은 연평균 19.4%의 성장률을 보였다. 또 매출총액도 10년 새 5.9배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톱 250에 속한 오프라인 소매기업은 연평균 2.0% 성장했다. 매출총액도 1.2배 증가하는 데 그쳤다. 기반이 다른 두 소매업의 성장 속도 차이가 9.7배에 이른다는 얘기다.
전경련은 2020년 기준 ‘글로벌 톱 250’ 유통기업을 보유한 국가는 총 37개국이었고, 이 가운데 미국 기업이 70개로 가장 많았다고 전했다. 미국은 10년 새 톱 250 기업 수가 81개에서 70개로 줄었지만 같은 기간 미국 유통 기업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1.7%에서 46.2%로 늘었다.
상위 250위 유통기업에 포함된 한국 기업 수는 5개(이마트·롯데쇼핑·쿠팡·GS리테일·홈플러스)에 불과했다. 또 한국 유통기업 1개당 평균 매출액은 110억달러로, 톱 250 평균의 절반(53.9%)에 그쳤다.
미국 뿐 아니라 일본(29개), 독일(18개), 영국(15개), 중국(14개)에 비해서도 크게 떨어지는 수준이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온라인으로 국경 없이 소비하는 시대에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유통기업이 탄생하기 위해서는 이에 걸맞은 유통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유통시장 현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규제는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