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9월 무역적자 37억 달러…25년만 6개월 연속 적자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0.01 10:25
8월 무역적자 94억7천만달러…5개월째 적자

▲(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우리나라 무역수지가 9월에도 적자를 보이면서 6개월 연속 적자를 냈다. 이는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무려 25년 만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9월 수출입 통계게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2.8% 증가한 574억 6000만달러, 수입은 18.6% 늘어난 612억 3000만달러로 집계됐다.

37억 7000만달러(약 5조 4213억원)의 적자가 발생한 셈이다. 수출 증가율은 한 자릿수에 그쳤지만, 고공행진 중인 에너지 가격으로 수입은 두 자릿수 증가율이 나타났다.

무역수지는 지난 4월부터 적자가 계속되고 있다. 6개월 이상 연속 적자는 1995년 1월∼1997년 5월 이후 25년여간 없었다.

다만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지난 8월(94억 9000만달러)과 비교해 상당폭(60.3%) 축소된 것이다.

대중 무역수지도 지난달 6억 9000만달러 흑자를 기록, 5개월 만에 흑자로 전환됐다.

무역 적자는 한국처럼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은 일본, 이탈리아, 프랑스 등에서도 지속되는 상황이다.

수출은 기존의 9월 최고 실적인 지난해 9월(559억달러) 대비 15억 달러 넘게 웃돌아 9월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 이로써 수출은 23개월 연속 증가세를 지속했다.

품목별로 석유제품(52.7%), 자동차(34.7%), 이차전지(30.4%) 수출은 9월 역대 최고 실적을 보였다.

선박(15.5%)과 차부품(8.7%) 수출도 늘어 15대 수출 주요 품목 가운데 5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반면 세계경기 둔화 등에 따른 수요 약세로 반도체(-5.7%), 무선통신(-7.0%), 유화(-15.1%) 등의 수출은 감소했으며 태풍 영향 등으로 철강(-21.1%) 수출도 줄었다.

또 주요 수출국 9개 지역 가운데 미국(16.0%), 인도(8.5%), 아세안(7.6%), 일본(2.5%) 등 5개 지역의 수출이 증가했다.

그러나 성장세 회복이 지연되는 중국과 에너지 수급 차질 등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가 확산 중인 유럽연합(EU)으로의 수출은 각각 6.5%, 0.7% 감소했다.

수입은 7개월 연속으로 600억달러대를 기록했다.

대규모 에너지 수입 등의 영향으로 원유, 가스, 석탄 수입액이 전년 동월 대비 80억 5000만달러 증가한 179억 6000만달러로 81.2%나 늘어나 수입 증가세를 주도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