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4회 국립공원 미래전략 토론회 포스터 |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오는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해철 위원장과 함께 제4회 국립공원 미래전략 토론회(심포지엄)를 연다고 28일 밝혔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지난 3회 토론회까지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병행해 열렸지만 이번 토론회부터는 대면 행사로 열린다.
이번 토론회는 ‘탄소중립을 위한 발걸음, 지역과 시민 주도 혁신’을 주제로 전 지구적 기후위기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정부, 지방기관, 시민사회가 할 수 있는 역할을 논의한다.
기조강연은 윤종수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한국위원회 회장이 ‘탄소중립을 위한 국내외 동향과 시민 및 지역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발표한다.
주제발표로 지역기반에서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부소장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지역기반 혁신, 무엇이 필요한가?’를, 시민과학에서 명호 생태지평 소장이 ‘갯벌키퍼스 플랫폼을 통한 시민과학 체계구축과 그 중요성’을, 국립공원에서 문정문 국립공원공단 탄소중립전략실장이 ‘지역과 시민참여의 국립공원 탄소중립 실현 전략’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어 최재용 충남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각계 각층의 전문가와 함께 종합토론 시간을 갖는다. 현장의 참석자가 질의하고 응답하는 시간을 통해 지역과 시민이 주도하는 혁신의 구체적인 방법과 사례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논의를 펼친다.
이번 토론회는 우리나라가 탄소중립 사회로 전환하는데 국립공원의 역할과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장으로 지난해부터 반기별로 주제를 선정해 국내외 전문가가 함께하고 있다.
전해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은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노력으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이 제정됐고 이제는 이 법의 취지가 현장에서 잘 실천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며 "입법부, 정부 나아가 지역과 시민이 연대의 힘을 발휘하여 탄소중립을 위한 움직임이 확장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국립공원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탄소중립을 위해 지역과 시민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토론회와 같이 시민사회와 교류하고 협력하는 의미 있는 자리를 지속적으로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axkj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