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베트남 자동차업체 빈패스트 사례를 주시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빈패스트는 자동차 제조업 진입 5년만에 내연기관차 단종을 선언하고 전기차에 집중한다고 밝혔다.
한국자동차연구원(한자연)은 28일 발표한 ‘전기차에 올인한 빈패스트의 미래’ 산업동향 보고서를 통해 "빈패스트는 2028년까지 전기차만으로 100만대 이상을 판매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며 이 같이 분석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빈패스트는 최근 △모든 생산라인 전기차로 전환 △배터리팩 공장 설립 △전기차 충전소 설치 등 관련 사업 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내수에 이어 해외시장을 순차적으로 공략하는 패턴과 달리 빈패스트는 미국 시장에 선제적으로 도전할 계획이다.
빈패스트는 지난 7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쇼룸을 오픈해 전기차 모델 홍보 및 체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향후 미국 전 지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지난 6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린 EV 국제학술대회에서 독일 25개, 프랑스 30개, 네덜란드 5개 등 유럽 전 지역으로 50개 이상 매장을 내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은 미국 시장 진출의 리스크 요인으로 꼽힌다는 평가다. IRA는 북미산 전기차 가운데 북미에서 제조·조립된 배터리 부품의 비율과 북미나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에서 채굴된 핵심 광물의 사용 비율에 따라 차등해 세액을 공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빈패스트는 당초 2024년 상반기까지 노스캐롤라이나주에 전기차 및 배터리 공장을 설립할 계획이었다. IRA 발효로 인해 전기차 보조금 혜택을 받지 못하게 됐다.
한국자동차연구원 관계자는 "미국 내 기업공개(IPO), 판매·정비 인프라 구축, 브랜드 인지도 개선 등도 과제"라며 "다만 탈 중국 기조에 따라 아세안(ASEAN) 지역이 반사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높고 그중에서도 제조업 기반이 우수한 빈패스트가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yes@ekn.kr
한국자동차연구원(한자연)은 28일 발표한 ‘전기차에 올인한 빈패스트의 미래’ 산업동향 보고서를 통해 "빈패스트는 2028년까지 전기차만으로 100만대 이상을 판매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며 이 같이 분석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빈패스트는 최근 △모든 생산라인 전기차로 전환 △배터리팩 공장 설립 △전기차 충전소 설치 등 관련 사업 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내수에 이어 해외시장을 순차적으로 공략하는 패턴과 달리 빈패스트는 미국 시장에 선제적으로 도전할 계획이다.
빈패스트는 지난 7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쇼룸을 오픈해 전기차 모델 홍보 및 체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향후 미국 전 지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지난 6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린 EV 국제학술대회에서 독일 25개, 프랑스 30개, 네덜란드 5개 등 유럽 전 지역으로 50개 이상 매장을 내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은 미국 시장 진출의 리스크 요인으로 꼽힌다는 평가다. IRA는 북미산 전기차 가운데 북미에서 제조·조립된 배터리 부품의 비율과 북미나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에서 채굴된 핵심 광물의 사용 비율에 따라 차등해 세액을 공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빈패스트는 당초 2024년 상반기까지 노스캐롤라이나주에 전기차 및 배터리 공장을 설립할 계획이었다. IRA 발효로 인해 전기차 보조금 혜택을 받지 못하게 됐다.
한국자동차연구원 관계자는 "미국 내 기업공개(IPO), 판매·정비 인프라 구축, 브랜드 인지도 개선 등도 과제"라며 "다만 탈 중국 기조에 따라 아세안(ASEAN) 지역이 반사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높고 그중에서도 제조업 기반이 우수한 빈패스트가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