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기후·환경단체 400곳 뭉쳐 3년만의 대규모 집회…尹정부 에너지정책 전환 촉구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09.24 15:47
KakaoTalk_20220924_150748615

▲기후·환경단체 400여곳이 24일 서울 시청 앞에서 집회를 벌이고 있다. 사진= 이원희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기후·환경 단체 400여곳이 주말 대규모 집회 및 행진을 갖고 윤석열 정부에 에너지 정책 전환 등 적극적인 기후위기 대응을 촉구했다. 이들은 ‘기후재난, 이대로 살 수 없다’는 슬로건을 내걸고 정부와 기업에 조속한 탄소중립 실현을 요구했다.

환경운동연합과 녹색연합 등 400여개 단체들이 모여 만든 ‘924 기후정의행동 조직위원회’는 지난 24일 서울시청에서 대규모 집회를 가진 뒤 광화문 등까지 행진했다.

이번 집회는 지난 2019년 이후 3년 만에 진행되는 대규모 기후변화 대응 관련 집회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확산 여파로 지난 2020년과 지난해는 집회가 진행되지 못했다고 주최측은 설명했다.

기후·환경단체들은 윤 정부의 에너지정책을 겨냥했다. 윤 정부는 지난달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초안을 발표해 문재인 정부의 2030년 국가온실감축목표(NDC) 상향안보다 원자력 비중을 늘리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줄일 계획을 알렸다.

10차 전기본에서 2030년 발전량에서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32.8%로 2030 NDC의 23.9%보다 8.9%포인트 늘렸고 재생에너지 비중은 21.5%로 30.2%에서 8.7%포인트 줄였다.

924 조직위원회는 이날 성명을 내고 "석탄발전소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 등의 신규 건설을 중단하고 기존 발전소를 최대한 빨리 폐쇄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이 빠르게 확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직위원회는 "핵(원자력) 발전은 기후위기의 대안이 아니다"며 "핵발전은 핵사고와 방사성 폐기물의 위험으로 기후생태위기 해결을 더욱 어렵게 한다" 강조했다.

924 조직위원회는 에너지정책뿐 아니라 내연기관 자동차 생산과 공장식 축산, 산업적 수산업을 통한 남획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후위기에 따른 불평등 해소와 당사자들의 목소리를 담을 민주적 절차와 제도 마련도 촉구했다.

청년 기후환경 단체인 빅웨이브의 한 활동가는 "그동안 코로나 19로 기후환경운동이 지역마다 퍼져있었는데 이번에 다 같이 모일 수 있어 의미 있는 집회가 됐다"고 말했다.
wonhee454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