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 |
LG전자는 23일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원(KRISS)과 공동으로 ‘6G 그랜드 서밋’을 개최해 기술 현황을 공유하고 방향성을 논의했다.
김병훈 LG전자 최고기술책임자(CTO) 부사장은 이날 환영사에서 "6G는 모빌리티, 메타버스, 산업 사물인터넷(IoT) 등 LG전자 미래사업을 위한 핵심 기술"이라며 "국내외 6G 연구개발 주체와 지속 교류해 LG전자는 물론 대한민국이 6G 기술 연구개발 구심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행사는 ‘키노트 세션’과 ‘테크니컬 심포지움’, ‘인더스트리 패널’로 나눠 진행됐다. 먼저 키노트 세션에서는 △ 존 스미 퀄컴 엔지니어링 담당 부사장이 ‘연결된 지능형 미래를 실현하는 핵심기술’ △ 정재훈 LG전자 연구위원이 ‘하이퍼 컨버전스로 향하는 6G의 길’ △ 토마스 클라이네 오스트만 독일 연방물리기술원이 ‘테라헤르츠 기반 기술’ 등에 대해 발표한다.
테크니컬 심포지움에서는 아르노 파시넨 핀란드 오울루대 교수, 이인규 고려대학교 교수, 마크 로드웰 미국 UC산타바바라 교수, 김상효 성균관대학교 교수, 천정희 서울대학교 교수 등이 참석해 최신 6G 기술을 소개했다.
인더스트리 패널 세션에서는 LG전자, 퀄컴, 에릭슨, 키사이트 등 글로벌 6G 기술을 이끄는 업체와 국내 통신 3사 6G 관련 연구개발 지도자가 나서 6G 주요 응용 및 서비스와 기술 목표, 주요 후보 기술에 관한 토론을 진행했다.
현장에는 LG전자 ‘다채널 전력 증폭기’와 ‘저잡음 수신 신호 증폭기’ 등 이달 초 독일에서 테라헤르츠 대역 실외 320m 무선 데이터 송수신에 활용한 핵심 소자를 공개하기도 했다.
6G 이동통신은 2025년경 표준화 논의를 시작으로 2029년에는 상용화가 예상된다. 5G 대비 한층 더 빠른 무선 전송속도와 저지연, 고신뢰 통신을 지원한다. 사람, 사물, 공간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만물지능인터넷(AIoE)과 모바일 홀로그램과 같은 초실감 미디어를 가능하게 할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
jinsol@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