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종환

axkjh@ekn.kr

김종환기자 기사모음




한-EU, 산업·에너지 분야 협력 방안 논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09.21 16:53

산업부 통상차관보, EU 대표단과 회담

정대진 통상차관보, 유럽의회 대표단과 회담<YONHAP NO-4939>

▲정대진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차관보가 21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오트마 카라스 유럽의회 수석 부의장과 크리스티안 부노이 유럽의회 산업·연구·에너지 위원회 위원장 등을 만나 회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김종환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유럽연합(EU)와 산업·에너지 분야 협력 방안을 굥유했다고 21일 밝혔다.

정대진 산업부 통상차관보는 이날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EU의 오트마 카라스 유럽의회 수석 부의장과 크리스티안 부노이 유럽의회 산업·연구·에너지 위원회 위원장 등 대표단과 회담을 갖고 이같은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정 차관보는 "우리 정부가 원전을 탄소중립 달성과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원전 활용도 증대 및 원전 생태계 강화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UAE 원전 사례에서 증명된 한국의 우수한 해외 원전 건설 역량을 활용해 글로벌 에너지 안보와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하고자 한다"며 "신규 원전 도입·운영국과 적극 협력할 의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EU 회원국 중 체코, 폴란드, 네덜란드 등이 신규 원전 도입을 추진 중이다.

또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중 전기차 세제 혜택 조항이 미국산과 수입산 전기차를 차별하고 있어 EU 회원국도 유사한 우려를 갖고 있을 것"이라며 "해당 사안의 조속한 해결을 위한 한·EU 간 공조와 관련해 유럽의회 차원에서도 관심을 가져달라"고 요청했다,

EU 회원국 중 독일·스웨덴 등이 미국에 전기차를 수출하고 있다.

정 차관은 EU가 추진중인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관련 "도입 일정 및 세부 이행방안 등이 불투명해 우리 수출기업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CBAM 도입시 국제규범에 합치, 수출기업에 대한 차별요소 해소, 각국의 기후제도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xkj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