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2 포춘 글로벌 500 에너지 분야 내 국가별 기업 수 자료제공= 전국경제인연합회 |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은 20일 ‘2022 포춘 글로벌 500(이하 글로벌 500)’ 자료를 분석해 이같은 주장을 내놨다.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글로벌 500 가운데 에너지기업은 26개국 77개로 금융(111개)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이들 77개 기업의 매출액 글로벌 500에서 차지하는 비중(2021년 매출액 기준)은 19.4%로, 총 21개 섹터 중 금융과 함게 가장 컸다.
2022년 에너지 분야 총 77개 기업 중 국가별로는 중국 기업이 18개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미국이 11개, 영국, 프랑스, 인도, 독일이 각각 4개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은 국가전망유한공사를 비롯해 중국석유천연가스공사, 시노펙 등 에너지 기업 매출액 1~3위를 모두 보유하면서, 에너지 분야를 주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은 3개 기업이 순위에 올랐으며 SK(27위, 881억달러), 한국전력(45위, 524억달러), GS칼텍스(75위, 302억달러) 순이었다.
2022 에너지 분야에서 각국의 매출액 규모(합계)를 살펴보면 중국이 2조2610억달러로 전체의 약 3분의 1을 차지(30.8%)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은 2위로 1조787억달러(14.7%)로 나타났다. 이어 영국(7.4%), 프랑스(5.5%) 순이었다.
한편, 한국은 2.3%를 차지하면서 13번째에 올랐다.
국가별로 에너지 기업들의 전체 매출액 합계를 기업 수로 나눈 국가별 1개 기업당 평균 매출액을 살펴보면, 사우디아라비아가 4004억달러로 가장 좋은 실적을 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람코 1개 사가 달성하고 있는 매출액이다.
반면, 한국의 1개 기업당 평균 매출액은 569억달러로 19위에 이름을 올렸다.
전경련은 우리나라 에너지 기업들이 규모의 경제 효과를 더 누릴 수 있도록 체급을 키울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포춘 글로벌 500을 살펴보면, 에너지 분야는 금융과 함께 매출 1위를 다투는 중요한 분야"라며 "세계 각국이 자원·에너지 안보에 힘을 쏟고 있는 이 시점에서 우리나라도 에너지 기업 육성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에너지 분야 중 특히 자원개발 산업의 수익성이 높은 만큼 우리나라 기업들이 이 분야에서 글로벌 수준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