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의 모습.연합뉴스 |
18일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 세계 반도체 시장 규모는 1581억1300만달러(약 220조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는 203억달러(약 28조5000억원)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삼성전자 시장 점유율은 1분기 12.5%에서 0.3%포인트(p) 늘어난 12.8%를 기록했다.
인텔은 경기침체에 따른 개인용컴퓨터(PC) 수요 둔화와 공급망 차질 등으로 올해 2분기에 ‘어닝쇼크’를 기록했다. 2분기 매출은 1분기보다 16.6% 감소한 148억6500만달러(약 20조6000억원)였고 여기에 적자 4억5400만달러(약 6000억원)를 봤다. 시장 점유율은 올해 1분기 11.1%에서 2분기 9.4%로 하락했다.
올해 2분기 1위 삼성전자와 2위 인텔 간 점유율 격차는 1분기 1.4%p에서 2분기 3.4%p로 벌어졌다.
삼성과 인텔은 반도체 매출 1위 자리를 놓고 서로 엎치락뒤치락하는 라이벌 관계다. ‘반도체 공룡’ 인텔은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명실상부 1위 자리를 지켜오다가 2017년 처음으로 삼성전자에 추월당했다. 2018년에도 삼성이 1위였다. 이후 인텔은 2019년에 삼성전자를 다시 추월해 2020년까지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고 지난해에는 삼성전자가 메모리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재역전에 성공했다.
올해 들어 메모리 반도체 업황이 나빠졌긴 했지만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올해도 무난하게 세계 반도체 1위 자리를 지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SK하이닉스는 올해 2분기 6.8%의 시장 점유율로 삼성전자 인텔에 이어 세계 3위를 기록했다. 점유율은 1분기보다 0.6%p 높아졌다.
퀄컴은 5.9%의 점유율로 4위, 마이크론은 5.2%의 점유율로 5위였고 그다음은 브로드컴(4.2%), AMD(4.1%), 엔비디아(3.6%), 미디어텍(3.3%), 텍사스인스트루먼트(3.0%) 등의 순이었다.
세계 반도체 매출 10위권 기업 중 국내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대만 미디어텍을 제외한 나머지 7개는 모두 미국 기업이었다.
jinsol@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