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즈 트러스 영국 총리가 6일(현지시간) 다우닝가 10번지 총리관저 앞에서 취임 후 첫 연설을 하고 있다(사진=로이터/연합) |
트러스 총리는 6일(현지시간) 취임 첫 연설에서 에너지 위기에 대한 대책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푸틴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위기를 직접 해결할 것"이라면서 "에너지 요금 문제와 미래 에너지 공급원 확보에 관한 조치를 이번주에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 일환으로 새 정부는 가계 에너지 요금 상승을 억제하고 소상공인의 에너지 비용 부담을 덜어주는 방안을 이르면 8일 발표할 전망이다.
BBC 등 영국 매체들은 정부가 표준 가구 기준 가계 에너지 요금을 연 2500파운드(약 400만원)로 고정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여기에 기존의 연 400파운드 지원을 더하면 실제 요금은 연 2100파운드로, 현재 연 1971파운드(314만원)와 비슷한 수준이 될 것이란 계산이 나왔다.
영국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천연가스 가격이 급등한 영향으로 가계 에너지 요금이 치솟고 있다. 발전에서 가스 비중이 높은 탓이다.
심지어 영국의 에너지 요금이 다음 달에 연 3549파운드(565만원)로 80% 뛰고, 내년 4월엔 연 6616파운드(1054만원)까지 급등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 상황이다.
BBC는 이번 지원 정책은 정부가 차입을 해서 에너지 업체에 가스도매가격과 소매에너지요금 사이 차액을 직접 보조하는 방식이 될 것이며 전체 규모는 1000억파운드(약 160조원)에 달하지만 기간은 미정이라고 보도했다.
![]() |
▲영국 내각 고위급 인사 4명이 6일(현지시간) 인사 통보를 받고 관저에서 나오고 있다. 내무부 장관(왼쪽 위), 외무부 장관(오른쪽 위), 부총리 및 보건부 장관(왼쪽 아래), 재무부 장관(오른쪽 아래)(사진=AFP/연합) |
재무장관에는 보리스 존슨 전임 총리 내각에서 산업부 장관이던 쿼지 콰텡이 임명되면서 에너지 위기 대응을 주도하게 됐다. 아프리카 가나 이민 2세인 그는 명문 사립 이튼과 케임브리지대를 거쳐 금융 분야에서 일을 했다. 이번 에너지 위기 대응과 관련해 콰텡 장관은 영국이 빚을 더 낼 여력이 있다고 밝혔다.
트러스 총리의 뒤를 잇는 외무부 장관으로는 제임스 클리버리가 임명됐다. 시에라리온-영국 혼혈인 클리버리 장관은 군 경력이 있으며 외무부에서 중동·북아프리카, 유럽·북미 담당 차관을 지냈다.
내무부 장관에는 당대표 경선에 나섰던 수엘라 브레이버먼 법무상이 임명되면서 연속으로 소수 인종 출신이 맡게 됐다. 브레이버먼 장관은 부모가 케냐와 모리셔스에서 1960년대 옮겨왔다.
경선에서 거의 마지막까지 경쟁한 페니 모돈트는 하원 원내 대표가 됐다.
트러스 총리의 오랜 정치적 동지인 테리즈 코피는 부총리 겸 보건복지부 장관을 맡는다.
우크라이나 사태 대응으로 호평을 받은 벤 월리스 국방부 장관은 유일하게 같은 자리를 지키게 됐다.
경쟁자인 리시 수낵 전 재무부 장관 측에 섰던 도미닉 라브 법무부 장관, 그랜트 섑스 교통부 장관 등은 모두 빠졌다. 존슨 전 총리의 열렬한 지지자인 나딘 도리스 문화부 장관은 입각 제안을 거절했다.
한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트러스 총리가 취임한 이후 통화에서 축하 인사를 전하면서 양국 관계 강화와 국제 문제 협력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트위터에 "우리 양국 간 특별한 관계가 깊어지고 러시아의 침공에 맞서 스스로 방어하고 있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포함해 국제적 도전 과제에 있어 긴밀히 협력하기를 고대한다"고 밝혔다.
트러스 총리는 "공통의 도전, 특히 푸틴의 전쟁이 야기한 심각한 경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자유로운 민주주의 국가의 정상으로서 바이든 대통령과 긴밀히 협력하기를 고대한다"고 밝혔다.
양국 정상은 이와 함께 벨파스트 협정(굿 프라이데이 협정)의 성과를 지키고 ‘북아일랜드 협약’에 대해 유럽연합(EU)과 합의를 이루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1998년 체결된 벨파스트 협정은 북아일랜드 평화의 기반으로, 아일랜드섬 내의 자유로운 인적·물적 왕래를 보장한다. 북아일랜드 협약은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 협정의 일환으로, 그 준수 문제를 놓고 EU와 영국은 갈등을 빚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