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항 신선대 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연합뉴스 |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서 7월 경상수지는 10억 9000만달러(약 1조5037억원) 흑자였다.
한국 경상수지는 2020년 5월 이후 올해 3월까지 23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하다가 4월 수입 급증과 해외 배당이 겹치면서 적자를 냈다. 그러다 5월 흑자 전환에 성공한 뒤 석 달째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하지만 7월 흑자액은 작년 같은 달(77억 1000만달러)보다 66억 2000만달러 줄었다.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 흑자가 1년 전보다 67억 3000만달러나 줄었다. 11억 8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상품수지 적자는 2012년 4월 이후 10년 3개월 만이다.
수출(590억 5000만달러)이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6.9%(37억 9000만달러) 늘었다. 수입(602억 3000만달러) 증가 폭(21.2%·105억2000만달러)이 수출 약 세 배에 이르렀다.
무엇보다 7월 통관 기준으로 원자재 수입액이 작년 같은 달보다 35.5% 불었다. 원자재 중 석탄, 원유, 가스 수입액(통관기준) 증가율은 각 110.0%, 99.3%, 58.9%에 이르렀다.
반도체(23.8%) 등 자본재 수입도 7.6% 늘었다. 곡물(28.2%)과 가전제품(21.3%)을 비롯한 소비재 수입도 8.5%, 증가했다.
서비스수지는 3억 4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작년 7월(-2억 8000만달러)보다 6억 2000만달러 늘었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특히 운송수지 흑자 규모가 1년 사이 14억 8000만달러에서 18억 4000만달러로 3억 6000만달러 커졌다.
7월 선박 컨테이너운임지수(CCFI)가 1년 전보다 16.5% 오르는 등 수출화물 운임이 높은 수준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방역 완화 등 영향으로 여행수지 적자(-8억6만달러)는 지난해 7월(-5억달러)보다 늘었다.
본원소득수지 흑자(22억 7000만달러)는 1년 전(28억 4000만달러)과 비교해 5억 8000만달러 줄었다. 본원소득수지 가운데 배당소득수지 흑자(16억 9000만달러)가 4억 3000만달러 감소한 데 큰 영향을 받았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7월 중 1억 8000만달러 늘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56억 7000만달러,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22억 6000만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32억 4000만달러,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도 42억 2000만달러 불었다.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