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리는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왼쪽부터)이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경상수지가 높은 불확실성을 보이고 있어 당분간 월별로는 변동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고 5일 밝혔다.
추 부총리는 이날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최근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 중국 등 글로벌 수요 둔화 등에 따라 무역수지가 악화하면서 향후 경상수지 흑자 축소 가능성도 있다"며 "외환수급 여건 전반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달 무역수지는 94억7000만 달러 적자로, 1956년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 규모의 적자를 보였다. 1∼8월 누적 무역적자는 역대 최대 규모인 247억23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2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360원대를 돌파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3년 4개월여 만이다.
추 부총리는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는 주로 대외여건 악화에 기인한다"며 "달러화가 20년 만에 최고치까지 상승하며 주요국 통화 모두 달러화 대비 큰 폭의 약세를 보이고 있다"고 했다.
이어 "특히 8월 들어 무역수지 악화, 위안화 약세 영향이 중첩되며 원/달러 환율은 빠르게 상승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높아진 환율 수준과 달리 대외건전성 지표들은 큰 변화 없이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대표적인 국가 신용 위험도 지표인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지난 7월 이후 하락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고 했다.
추 부총리는 높은 불확실성에도 경상수지가 상반기 248억 달러를 기록하는 등 올해 상당 규모의 흑자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지난주 발표한 수출경쟁력 강화와 해외인프라 수주 활성화 전략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무역구조 전반에 걸친 개선방안도 지속해서 강구하겠다"며 "경상수지와 내외국인 자본흐름 등 외환수급 여건 전반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정책 방안 등을 꾸준히 모색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로 하락한 것에 대해서는 "국제유가 하락, 정책효과 등으로 물가상승률이 전월 대비 21개월 만에 하락했다"며 "추석 명절을 앞두고 물가 오름세가 조금이나마 완화된 점은 다행이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 지속되고 있고 장마에 이은 태풍 등 기상악화 영향 등도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했다. 그는 "정부는 한시도 경계감을 늦추지 않고 초속한 물가·민생 안정을 위해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또 추 부총리는 "금융·외환시장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관계기관 간 긴밀한 공조 하에 필요할 경우 선제적으로 대응해 시장 안정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추석 연휴 기간에도 관계기관 합동대응체계를 가동해 해외 금융·외환시장과 실물경제 상황을 실시간 점검하고 신속히 대응해 나가는 한편 시장 교란행위는 적기에 엄정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했다.
이날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는 추 부총리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했다.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는 지난 7월 28일 이후 한 달여 만에 열렸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