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한국은행. |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7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달러 기준·잠정치) 통계를 보면 지난달 수입금액지수(182.55·2015년 100 기준)는 전년 동월 대비 22.7% 올랐다. 20개월 연속 오른 것으로, 전월(20.4%)에 비해서도 오름 폭이 커졌다.
품목별로는 광산품이 70.7% 뛰었고, 농림수산품은 24.2% 상승했다. 공산품 중 화학제품(19.7%), 전기장비(18.8%), 섬유·가죽제품(17.1%),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14.3%)의 상승 폭이 컸다.
수입물량지수는 131.55로 등락률은 4%였다. 6월(-1.2%)에서 상승 전환했다. 공산품 중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가 23.9% 상승했다. 반면 제1차 금속제품(-16.1%), 석탄·석유제품(-15.3%)은 하락했다.
7월 수출금액지수(143.16)는 1년 전보다 8.1% 올랐다. 21개월 연속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공산품 중 섬유·가죽제품(-9.5%), 전기장비(-5.1%),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2.6%) 등이 감소했다. 반면 석탄·석유제품(83.8%), 운송장비(17.1%) 등은 증가했다.
수출물량지수(124.97)는 3.4% 올라 6월(-2.5%)에서 반등했다. 석탄·석유제품(18.5%), 운송장비(18.5%),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16.6%) 등이 올랐다.
수출입금액지수는 해당 시점 달러 기준 수출입금액을 기준시점(2015년) 수출입금액으로 나눈 지표다. 수출입물량지수는 이렇게 산출된 수출입금액지수를 수출입물가지수로 나눈 것이다. 단 수입액(통관기준) 중 선박·무기류·항공기·예술품 등은 가격 조사의 어려움 때문에 빠져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82.55)는 1년 전 대비 11.4% 하락했다. 16개월 연속 떨어졌다. 통관시차를 반영한 수입가격 상승률(18%)이 수출가격(4.6%)보다 더 크게 오른 영향이다. 지수 자체로는 사상 최저 수준이며, 1년 전과 비교해 하락 폭은 2011년 8월(-12.5%) 이후 가장 컸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상품 한 단위 가격과 수입 상품 한 단위 가격의 비율로, 우리나라가 한 단위 수출로 얼마나 많은 양의 상품을 수입할 수 있는지 파악할 수 있는 지표다. 지수가 낮아지면 교역조건이 나빠진다는 의미다.
우리나라 수출 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보여주는 소득교역조건지수(103.16)는 1년 전보다 8.4% 내렸다. 수출물량지수가 상승(3.4%)했으나 순상품교역조건지수가 하락(-11.4%)했기 때문이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