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 개요 |
환경부와 국토교통부는 ‘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에 따른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의 신재생에너지 평가 항목에 하천수를 활용한 수열에너지 기술이 포함된다고 30일 밝혔다.
수열에너지는 하천수의 온도가 여름철에 대기보다 낮고 겨울철에 높은 특성을 활용헤 건물에 필요한 냉난방에너지를 공급하는 친환경 기술로 수열에너지를 활용할 경우 기존의 냉난방 에너지를 절감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환경부는 한국수자원공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함께 수열에너지 생산량 산정기준 등을 마련했으며 이번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 상의 평가 가능한 신재생에너지 항목에 수열에너지 내용을 포함했다.
이에 따라 이르면 올해 10월 말부터 수열에너지가 적용된 사업장의 경우 제로에너지건축인증 및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시 수열에너지 기술로 인한 에너지 절감효과를 반영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는 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에 따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건축물의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2017년부터 도입되었으며 2020년부터 연면적 1000㎡ 이상 공공건축물에 의무 적용 중이다.
정부는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 평가 항목에 수열에너지가 포함됨에 따라 건축물의 에너지소요량 계산 시 수열에너지를 통한 에너지 절감효과도 인정받을 수 있어 수열에너지 보급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환경부는 ‘2030년까지 수열에너지 1GW 달성’이라는 목표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를 달성하면 전기사용량 427GWh를 대체하고 온실가스 21만7000톤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진수 환경부 물관리정책실장은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에 수열에너지 기술이 포함된 것을 계기로 그동안 관련 기술 적용을 주저했던 기관들이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도 수열에너지 도입 활성화를 위해 현재 추진 중인 민간·지자체 대상 수열에너지 도입 시범사업을 원활히 진행하고 시공 운영 안내서를 마련하는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xkj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