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C녹십자의 수두생바이러스백신 ‘배리셀라주’ |
GC녹십자는 자체 조사를 거쳐 24일(현지시간)부터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리는 국제약물역학학술대회(ICPE 2022)에 제출한 이러한 내용의 국내 수두 발병률 연구 결과가 우수포스터로 선정됐다고 이날 밝혔다.
이번 연구는 GC녹십자 데이터사이언스팀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를 이용해 10년간 국내 중증 수두 발병률 추이를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국내 소아에서 합병증을 동반한 수두의 발병률은 2010년 10만명당 137명에서 2020년 10만명당 11명으로 10년새 9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합병증을 동반한 수두 사례의 발생률은 0-4세에서 96%, 5-9세 92%, 10-19세 어린이에서 77-78%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 분류별로 보면 ‘수두폐렴’이 98%로 가장 크게 감소했고, ‘기타 합병증’ 92%, ‘뇌수막염’ 73%, ‘뇌염, 척수염과 뇌척수염’이 71% 감소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5년부터 수두백신을 NIP에 포함시켜 12-15개월 사이의 모든 영유아에게 무료로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수두 예방이 잘 관리되고 있어 수두 발병률 감소로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고 녹십자는 설명했다.
앞서 GC녹십자는 세계에서 두 번째,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한 수두백신 ‘수두박스’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배리셀라주’를 지난 2020년 출시했다.
GC녹십자는 국내 수두백신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배리셀라주’의 국제 조달시장 진입을 위한 세계보건기구(WHO) 사전적격성평가(PQ) 인증이 가시화 되고 있다.
수두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전체 사망률은 10만명당 2명 정도로 낮지만 백혈병 환자 등 고위험군의 사망률은 5~10%에 이르며 산모가 분만 5일 전~분만 후 2일 사이에 수두에 걸리면 신생아는 중증 수두에 걸릴 위험이 높으며 이 경우 사망률은 3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봉규 GC녹십자 데이터사이언스팀장은 "NIP 수두백신 도입 이후 국제질병분류체계를 이용해 합병증을 포함한 수두 발병률 추이를 연구한 결과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NIP 도입 이후 수두 발병률 감소는 국내 수두백신 효능을 간접적으로 입증하는 결과"라고 말했다.
kch005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