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신간도서] 근대 개성상인과 인삼업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08.20 08:00
33881865774.20220816093511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개성상인들이 이끈 가삼(家蔘)에서 고려 인삼까지.

우리나라는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인삼 종주국’이다. 신간은 식민사관이 아닌 우리 눈으로, 약효에 관한 흥밋거리 일화 모음이 아니라 산업사의 측면에서 인삼업 전반을 아우르면서 인삼업의 주역인 개성상인의 역할에도 주목한 게 특징이다.

개성상인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양정필 제주대학교 사학과 교수는 이런 주제를 다루기에 맞춤인 역사가다.

역사 연구의 성패는 사료가 크게 좌우한다. 지은이는 근현대 150년간의 인삼업을 살피기 위해 승정원일기 등 널리 알려진 사료는 물론 당시 개성부의 ‘호적세표’, 이성계의 사저를 중건하는데 쓰인 ‘목청전중건원조성책’, ‘외상장책’ 등 숨어 있는 자료까지 들춰내 인삼업 발달사를 촘촘히 그려냈다.

1832년 공식 홍삼 수출량 8000근을 제조하기 위해 삼포가 얼마나 있어야 했는지, 일제강점기에 홍삼 수출을 독점한 미쓰이물산의 수익이 얼마였는지 등을 정확한 숫자로 보여준다.

책은 또 초창기, 전성기, 소강기로 나눠 황실과 일제 총독부의 홍삼 정책, 이에 대한 개성상인의 대응과 삼업계 개편, 삼포 경영 자금과 노동력 등 인삼업을 입체적으로 분석한다.

경상도에서 시작된 인삼 재배는 어떻게, 왜 개성에서 뿌리를 내렸을까. 지은이는 개성이 1820~30년대 인삼 주산지로 각인된 원인으로 의주상인과의 협력관계, 홍삼을 제조하는 증포소의 이전, 개성 특유의 신용제도를 꼽는다.

개성의 ‘지방 출상인’들이 재배법을 들여왔고, 농사만으로는 생계유지가 어려웠던 개성의 자연조건 탓에 개성 사람들이 수익성 높은 인삼 재배에 매달렸던 것이 큰 이유라는 설명이다. 여기에 중개인을 두고 무담보 신용대출이 가능한 개성 특유의 시변 제도 덕분에 6년이란 재배 기간에 투여할 자금을 융통하기 쉬웠다는 게 저자의 판단이다.

책을 읽으면 우리가 몰랐던 인삼의 굴곡진 역사를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다.

제목 : 근대 개성상인과 인삼업
저자 : 양정필
발행처 : 푸른역사

ye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