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전지성

jjs@ekn.kr

전지성기자 기사모음




기로에 선 탈원전…원자력노동연대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호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1.06.03 16:47

- 원자력노동연대 "한미 해외원전 시장 공동 진출, 신한울3·4호기 건설재개가 시작"



- 3일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원자력노동연대는 사실상 공기업 한수원 입장 대변



- 월성1호기는 사실상 폐로 확정...해체계획서 준비 중

clip20210603135829

▲원자력노동연대가 3일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를 촉구했다.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한미 해외 원전 시장 공동 진출은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 기술력을 복원하는 것이 시작이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강행과 속도조절의 기로에 선 가운데 원자력노동조합연대가 중단된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촉구하고 나섰다.

원자력노동조합연대의 이같은 움직임은 원전 사업을 전담하는 한국수력원자력의 입장으로 받아들여져 주목된다.

한수원은 공기업으로서 정부 정책에 공개적으로 반기를 들기 어렵다.

이에 한수원 근로자들을 주축으로 구성된 원자력노동조합연대가 한수원의 입장을 대변한 것이란 분석이 업계에서 나왔다.

지난달 22일 한미정상회담에서 원전수출 협력 합의 이후 정치권은 물론 산업계에서 탈원전 정책 철회와 원전산업 생태계 복원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현 시점에서 월성1호기 재가동은 사실상 물 건너 간 상황에서 국내 원전 산업 생태계 유지와 탈원전 정책 후폭풍을 잠재우기 위해 정부에게 남은 카드는 신한울 3·4호기 재개가 유일한 상황이다. 월성1호기는 2019년 12월24일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영구정지 혀가로 사실상 폐로가 결정된 상황이다. 원안위의 원전 영구정지 결정은 가동중지와 달리 돌이킬 수 없는 결정을 뜻한다. 영구정지가 허가가 나면 다시는 원자로에 핵연료를 장전할 수 없다. 한수원도 현재 원전해체계획서 작성을 준비중이다.

원자력노동조합연대는 3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 세계적으로 54개의 원전이 건설중이고, 앞으로 건설하기로 계획된 원전만 해도 98개일 정도로 해외 원전시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 기술력을 가진 우리나라에는 국가 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의 보고"라며 "이를 현실화 하고 지난 4년 동안의 탈원전 정책으로 무너져 가던 원전 산업계를 살릴 수 있도록 정부의 전향적인 정책 변화와 실천을 기대한다"고 촉구했다.

이날 노동연대는 "정부 스스로가 말하듯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한 국내의 원전 생태계가 강화돼야 하는데 신규원전 사업조차 정부가 추진하고 있지 않으니 장기·대규모의 원전건설 기술력과 사업은 유지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정부가 스스로 발표하고 인정한 ‘우수한 기자재 공급망’이 정부의 손에 의해 무너지고 있는 지적이다.

정부는 지난달 한미정상회담 직후 "전통적인 원전 강국인 미국의 기업들과 우수한 기자재 공급망과 더불어 UAE 바라카원전 1호기 상업운전을 성공시킨 우리 기업들 간 최적의 해외원전 공급망을 갖추게 될 경우, 수주경쟁력 제고와 더불어 양국 원전 생태계 강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한수원도 원자력노동조합연대의 입장과 크게 다르지 않다.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한미정상회담 직후 "공급국간 경쟁이 치열한 세계 원전 시장에서, 한미정상 간 합의를 계기로 수주 활동을 함께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것은 매우 뜻깊은 일"이라며 "바라카 1호기의 성공적 상업운전으로 보여준 높은 기술력과 더불어 우수한 기자재 공급망을 갖춘 한국과 전통적인 원전 강국으로써 지정학적 영향력과 함께 이미 해외에 많은 원전을 수출한 경험을 지닌 미국이 함께 해외사업에 진출한다면 수주 경쟁력도 매우 높아질 것"이라고 환영한 바 있다. 또한 "미국 기업과 구체적 논의를 통해 해외원전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바, 우리 원전 생태계 활성화에 크게 기여 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jj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