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단독] 이르면 내년 기업 바이오매스 REC 구입도 온실가스 감축 인정…재생E 시장 재편 촉각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1.02.18 16:10

올해 안에 연구용역 마무리 짓고 이르면 내년에 방안 나올 수도



바이오매스를 제외한 재생에너지 업계와 환경단체 반발 예상돼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이르면 내년부터 기업이 바이오매스 발전소로부터 구입한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도 온실가스 감축분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가뜩이나 재생에너지 공급량 확대 등으로 급락하고 있는 REC 가격 하락 등 재생에너지 공급 시장의 재편을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

 

전체 REC 발급량의 약 30%를 차지하는 바이오매스 발전 사업자도 온실가스 감축 부담을 안고 있는 일반기업과 REC 거래에 참여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피해가 예상되는 태양광·풍력 발전 사업자와 바이오매스의 탄소배출을 우려하는 환경단체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현재 온실가스 감축으로 인정되는 재생에너지는 태양광과 풍력, 수력뿐이다.

 

18일 환경부에 따르면 정부는 기업의 바이오매스 REC 구매량도 온실가스 감축분으로 인정하기로 하고 이를 위한 세부 실행 방안 연구용역을 올해 안에 마무리 짓기로 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바이오매스는 범위가 넓어 전체를 통틀어 배출권 인정을 하지 않는 건 부적절해 보인다"며 "연구 결과에 따라 바이오매스에 포함된 에너지원 중 태양광·풍력 ·수력처럼 재생에너지로서 온실가스 감축을 얼마나 해줄 수 있을지 검토해볼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올해 말까지 바이오매스 REC 온실가스 감축 관련 연구용역을 마무리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르면 내년 바이오매스 REC의 온실가스 감축 방안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바이오매스는 액체와 가스, 고체 형태로 다양하게 존재한다. 식물이나 동물성 기름을 활용하는 바이오디젤과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오는 가스 등으로 발전하는 바이오가스, 목재칩이나 목재펠릿을 활용한 고체 바이오연료가 있다. 이 연료들은 각자 특징이 달라 온실가스 감축 기여도도 다르지만 바이오매스 하나로 분류돼 온실가스 감축이 인정되지 않는 건 비효율적이라는 게 정부 분석이다. 바이오매스 발전으로 주로 활용되는 산림바이오매스인 목재칩과 목재펠릿의 경우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열 배 수준으로 차이가 나기도 한다. 

 

바이오매스는 탄소 배출을 하지 않는 건 아니지만 탄소 순환을 이용한 생물자원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재생에너지로 인정받고 있다. 바이오업계는 산림바이오매스의 경우 오래된 나무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고 새로운 나무를 심으면서 전체적으로는 탄소중립을 이룬다고 설명한다. 성장이 끝난 나무보다는 나무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탄소를 더 흡수하기 때문이다. 사용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전 세계적인  RE100(Renewable Energy 100%) 캠페인에서도 바이오매스는 재생에너지로 활용되고 있다.

 

바이오매스에서 나온 REC가 온실가스 감축이 인정되면 REC 시장의 판도가 크게 바뀔 것으로 보인다. 한국 에너지공단이 올해 상반기 처음 실시할 예정인 일반기업 REC 구매 입찰 시장에서 태양광과 풍력에는 온실가스 감축이 인정되지만 바이오매스는 인정하지 않을 예정이었다. 기업들이 온실가스 감축을 인정하지 않는 바이오매스보다는 태양광과 풍력에서 생산하는 REC를 더 선호할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이후 정부 방침에 따라 바이오매스도 온실가스 감축을 인정받게 되면 기업 입장에서는 태양광이 아닌 바이오매스 REC를 구매해도 큰 차이가 없게 된다.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인정 대상에 바이오매스 REC 구입량도 포함될 경우 태양광·풍력 등 나머지 재생에너지 업계와 환경단체의 반발이 예상된다.

 

환경단체는 바이오매스의 경우 탄소중립에 적합하지 않아  REC 발급을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지난 17일 기후솔루션을 포함한 환경단체가 발표한 ‘2021 재생에너지 정책제안서’에 따르면 "바이오매스는 이론적으로는 탄소중립 에너지원에 해당하나 실질적으로는 산림 활용으로 나온 온실가스 배출을 신규 산림으로 상쇄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며 "온실가스 감축 목적에 적합하지 않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바이오매스로 분류되는 에너지원 별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 이 에너지원들이 얼마나 온실가스 감축분을 인정받을지 주목된다.

 

 

wonhee454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