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0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에너지경제

ekn@ekn.kr

에너지경제기자 기사모음




[전문가기고] 쌍용차 위기극복, 올해 최대의 난제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1.01.20 13:24
2020122301001294500057521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올해 자동차 업계에서 최대 난제는 바로 쌍용차 문제다. 쌍용차는 중장기적인 문제가 아닌 당장 해결해야 할 심각한 과제다. 작년 12월 법정관리를 신청해 자정적인 구조조정기간을 3개월 받아서 오는 2월까지 투자자 또는 모기업인 인도 마힌드라의 투자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과연 쌍용차는 살아날 수 있을까. 가장 큰 문제는 미래가치가 크지 않다는 점일 것이다. SUV에 차종이 한정돼 있고 사라져가는 디젤엔진 기반이며, 전기차 등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원천기술이 약해 투자유치에 한계가 크다. 청산가치가 미래가치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심각한 결과가 초래되기 때문이다.

가장 핵심은 모기업의 향방이다. 마힌드라가 움직여서 직접 투자하거나 투자처를 찾지 못한다면 어느 누구도 움직이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래서 투자가 가장 핵심이다. 모기업이 움직이지 않는 상황에서 정부가 개입하기는 극히 어렵기 때문이다. 일개 민간 기업을 지분도 없으면서 정부가 개입해 공적 자금을 투입할 경우 국민적 저항을 받을 수 있고 다른 민간 기업에 대한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기 때문이다.

우선 모기업의 투자향방에 따라 정부가 방향을 돌려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최근에 산업은행이 상당액을 투자해 국유화에 대한 언급도 있으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사안인 만큼 성사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물론 예전에 정부가 개입해 쌍용차 해직자들의 복직문제를 직접 언급한 만큼 이미 발을 담근 사례가 있어서 고민은 있을 것이다. 또 현재 정부는 가장 큰 목적이 일자리 창출인 만큼 대규모 해고에 대한 대안은 찾아야 하기 때문에 쌍용차 문제는 더욱 고민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현대차에 대한 인수 가능성. 더욱 어려울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현대차그룹은 이미 국내 시설이 넘쳐나고 있는 실정이고 미래 모빌리티 플랫폼 완성이라는 숙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내보다 해외에 초점을 맞출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현재 정부가 기업 프랜들리 정책보다는 사업하기 어려운 노동자 프랜들리 정책을 지향하는 만큼 현대차 그룹에의 지향 가능성은 더욱 낮다. 도리어 앞서와 같이 정부가 국민의 눈치를 보지 않고 직접 쌍용차에 개입할 가능성이 더욱 크다. 이것을 마힌드라가 보고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위탁 생산에 대한 언급도 있으나 이 또한 쉽지 않은 상태다. 위탁생산은 다른 공장 대비 상당한 경쟁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우선 연봉을 수십 % 인하하지 않는다면 아예 진입조차 어려운 분야다. 생산단가의 획기적 인하와 품질제고가 함께 이루어져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현재로서는 쌍용차가 내부 허리띠를 졸라 매고 노사 안정화는 기본이고 있는 새로운 신차 한두 기종은 정상 출시돼 매출을 올리는 작업에 매진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 국내 잉여 자산 처리와 동시에 모기업의 투자 유치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후 정부의 관심을 촉발시켜 공장 자금 투입이 진행돼야 살아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시나리오가 맞아야 살아날 수 있다는 뜻이다.

최근 다시 마힌드라에서 투자자를 찾은 만큼 곧 발표하겠다는 언급을 했다. 마힌드라는 이번에 대주주와 경영권을 포기해 약 30%의 지분만 보유하고 나머지는 투자자에게 넘기는 경우라 언급하면서 조만간 발표하겠다는 언급을 해 기대를 낳고 있다. 물론 이전과 같이 논란만 일으키는 경영자가 나온다면 또다시 쌍용차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나 지금 당장은 최대의 위기를 벗어나는 것이 급선무다.

물론 당장 3년 정도는 5000억원 정도가 요구되고 1조원 이상이 투입돼도 쌍용차 자체의 미래를 위한 완전한 탈바꿈이 없다면 생존은 요원하다는 언급을 눈여겨봐야 할 것이다. 잘못하면 생명만 연장하는 좀비기업이 될 수 있다는 시장 논리도 생각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지금 당장은 투자처를 찾아서 숨통을 여는 것이 우선이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