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2025]“압도적 승리가 목표”…이재명 보수 안방 공략 가속화](http://www.ekn.kr/mnt/thum/202505/rcv.YNA.20250513.PYH2025051315430001300_T1.jpg)
6.3 조기 대선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선거 운동 초반부터 보수 세력 영입, 영남권 표심 잡기 등 '남의 토끼' 공략에 열을 올리고 있다. 보통 '집토끼 잡기'부터 제대로 해 놓고 시간이 남을 경우 또는 생색내기 식으로 상대방 우세 투표층·지역을 공략하는 것을 감안하면 이례적인 상황이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50% 안팎으로 다른 후보들보다 크게 앞서 나가는 등 우세한 상황 속에서 상대방의 '본진'을 공략해 '과반수의 압도적 승리'를 얻으려는 전략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민주당 안팎에선 2012년 대선에서 박근혜 당시 미래한국당 후보가 사상 최초로 기록했던 51.6%를 뛰어 넘는 게 목표라는 말들이 공공연히 나오고 있다.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지난 12일 21대 대통령 선거 운동의 공식 개막을 전후로 민주당과 이 후보 캠프는 과거 선거 때와는 판이한 전략적 행동을 보여주고 있다. 이념·정책적 선명성을 강조하고 우세 지역을 먼저 방문하는 등 '집토끼' 지키기가 아니라 보수 인사 영입과 지지선언 등 외연 확대와 영남권 표심 얻기 등 '남의 토끼' 공략에 힘을 쏟고 있다. 최근엔 지난 13일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에 참여했던 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정책 고문이었던 이병태 전 카이스트 교수가 이 후보를 지지하겠다고 선언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이 전 교수는 보수 진영에선 대표적인 경제 브레인으로 상당한 지명도와 정책적 역량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동안 이 후보와 민주당에 대해 사법리스크와 이념 성향 때문에 비난을 넘어 '혐오'의 언사까지 서슴치 않았던 인물로 전해진다. 이에 따라 보수 진영에선 이 전 교수의 전격적인 이 후보 지지 선언에 대해 예사롭지 않은 사건으로 보고 있다. 보수 언론인 조갑제씨는 소셜네트워크(SNS)에서 “이병태 교수는 많은 공부를 한 한국 지식인 사회의 소중한 인재"라며 “변절했다든지 배신했다든지 하는 싸구려 논평으로 설명할 수 없는 중대한 변화가 한국사회에 일어나고 있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이 전 교수의 능력과 인격을 잘 아는 사람으로서 그의 선택은 대한민국의 경제를 어떻게 살릴 것인가하는 일념에 있고 그런 점에서 아주 순수한 마음으로 결정을 한 것으로 믿는다"며 “그런 좋은 분을 이재명 캠프가 모셔간다는 점에서 이 후보와 민주당을 바라보는 시각에 대해서도 많은 사람들이 깊게 생각을 해 볼 점이 있다"고 말했다. 이 전 교수는 한때 이 후보의 캠프에 합류해서 일정 역할을 맡을 것으로 알려졌지만 추후 내부 반대로 결국 무산된 것으로 화인됐다. 하지만 이 전 교수는 여전히 이 후보를 돕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밖에도 홍 전 시장 지지자들 모임인 홍사모·홍사랑 등도 같은 날 공개적으로 이 후보 지지 선언을 하기도 했다. 앞서 이 후보의 캠프 안팎에선 보수 인사들의 합류, 지지가 잇따르고 있는 상황이다. 김진, 조갑제, 정규재 등 보수 언론인 출신 인사들이 최근 잇따라 이 후보를 칭찬하는 등 우호적인 입장으로 돌아섰다. 특히 '보수 책사'로 유명한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이 현재 민주당 선대위 상임총괄선대위원장을 맡고 있다. 윤 전 장관은 정치계 원로로서 전체적인 대선판의 큰 그림을 그리는 동시에 이 후보의 '외연 확장' 전략의 상징적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또 경북 안동 3선 의원 출신으로 친유승민계로 분류됐던 권오을 전 한나라당 의원, 경북 칠곡 3선 의원 출신인 이인기 전 한나라당 의원도 합류했다. 전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낸 이석연 전 법제처장도 공동 국민대통합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 후보 본인도 선거 초반 2022년 대선에서 자신에 냉랭했던 영남 지역 표심 공략에 적극적으로 뛰고 있다. 이 후보는 당시 대구 21.60%, 경북 23.80%, 부산 38.15%, 경남 37.38%, 울산 40.79% 등을 얻는 데 그쳐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에 크게 뒤졌고, 결국 0.73% 차이로 낙선하고 말았었다. 이 후보의 입장에선 '적지'인 셈이다. 하지만 이 후보는 예전보다 훨씬 이른 시기인 공식 선거 운동 둘째날인 13일 경북 구미, 대구, 경북 포항, 울산을 차례로 방문해 집중 유세를 벌였다. 앞서 지난 9일부터 10일까지 '경청투어'를 통해서도 경북 경주, 경남 창녕 등 영남 지역을 방문한 바 있다. 이 후보는 이날도 이틀 연속 부산, 경남, 울산 지역을 찾아 유세했다. 정치권에서는 이 후보와 민주당이 이처럼 선거 초반부터 거세게 보수 진영의 안방을 공략하는 것이 큰 의미를 가진다는 분석이 나온다. 만약 영남권에서 40% 안팎의 지지를 얻고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내년 지방 선거까지 열기를 이어가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약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동안 단 한 번도 성공하지 못한 TK 지역으로의 민주당의 '동진' 정책이 성공을 거두는 순간이다. 국민의힘 입장에선 민주당의 이같은 전략이 성공할 경우 '중도 보수', '영남'이라는 안방을 잃고 소수 정당으로 쇠락의 길을 걸을 수 있다는 위기감까지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지난 대선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통합 행보로 노사모 일부 회원들이 윤 전 대통령을 지지했던 것처럼, 이재명 후보가 이번엔 보수층 공략에 나서고 있는 것"이라며 “그만큼 보수층이 결집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윤동 기자 dong01@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