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하만 인수 후 최대 M&A···‘삼성 위기론’ 속 미래먹거리 빅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5.14 14:33

[삼성전자 獨 플랙트 인수]
성장 산업으로 ‘과감한 진출’ 눈길
‘2030년 140조원’ 데이터센터 겨냥
AI 분야에서 LG전자와 격돌 예상
이재용 회장 무죄 후 M&A 급물살

삼성 로고

▲삼성 로고

삼성전자가 글로벌 공조 사업의 성장성을 확인하고, 독일 플랙트그룹 인수를 위해 15억유로(약 2조3700억원)를 베팅했다. 이번 조단위 인수합병(M&A)은 2017년 하만 인수 이후 8년만의 '빅딜'로 규모는 물론 차세대 먹거리 발굴을 위한 삼성전자의 행보가 빨라지고 있다는 시그널을 주고 있다.


업계에서는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데이터센터 냉난방공조 분야 등이 주목받고 있는 만큼 삼성전자가 빠른 결단을 내렸다는 분석이다. LG전자를 비롯한 경쟁사들도 해당 시장을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있어 경쟁사들을 제치고 삼성의 '1등 DNA'가 이번에도 부각될 수 있을지 눈길을 끈다. 반도체, 스마트폰 주력 분야 '위기론'이 불거진 가운데 성사된 M&A라는 점도 이목을 잡는 대목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공항, 쇼핑몰, 공장 등 대형 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중앙공조 시장 규모는 작년 610억달러(약 86조3700억원)에서 2030년 990억달러(140조1800억원)로 연평균 8%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AI 시대 각광받는 데이터센터 부문은 2030년까지 441억달러(62조4200억원)로 커져 연평균 18%의 높은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가정용·상업 시설 위주로 공조 사업을 해왔다. 다만 '캐시카우'로 지목되는 데이터센터 냉난방공조 등은 진입장벽이 높아 진출하지 못했다. 글로벌 공급 경험, 최적의 설계와 설루션 제시 역량 등을 갖춰야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가 100년 업력 플랙트의 몸값을 '조 단위'로 부른 배경이다.


업계는 삼성전자가 향후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빅테크' 고객사 확보를 위해 LG전자와 경쟁구도를 형성하게 될 것이라는 점을 눈여겨보고 있다. LG전자는 작년 말 조직개편을 통해 냉난방공조(HVAC) 사업을 기존 H&A사업본부에서 분리한 뒤 'ES사업본부'를 별도로 설치했다. 지난해 10조원 가량이던 HVAC 매출을 2030년 2배 이상 키운다는 게 이 회사의 구상이다.




LG전자는 특히 이를 위해 밸류체인을 판매 국가에서 구성하는 '현지화 전략'을 구사할 방침이다. 작년에는 4000억원 가량을 미국 앨라배마주에 투자해 신규 HVAC 생산시설을 착공했다. 플랙트가 유럽 등 해외 시장에서 강점을 지닌 만큼 삼성·LG전자의 신시장 선점 경쟁은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된다.


재계에서는 삼성전자가 조 단위 글로벌 M&A에 본격적으로 나섰다는 점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이 회사는 앞서 계열사 등을 총동원해 로봇(레인보우로보틱스), AI(옥스퍼드 시멘틱 테크놀로지스), 메드텍(소니오), 오디오·전장(룬, 마시모 오디오 사업부) 등 성장 산업 관련 기업을 연이어 품었다. 다만 계약 규모가 수천억원에 그쳐 '빅딜'에 대한 시장 기대에는 미치지 못했다.


삼성전자는 주주총회, 실적발표 콘퍼런스콜 등을 통해 '대형 M&A를 추진 중'이라는 사실을 수차례 밝혀왔다. 실탄은 현금성 자산을 100조원 안팎 보유했을 정도로 넉넉했다. 한때 영국 반도체 설계기업 ARM 인수설 등이 시장에서 돌기도 했지만 성사시키지는 못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플랙트 인수가 삼성 M&A 시계가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지난 2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부당합병·회계부정 의혹' 2심 무죄 선고로 사법 리스크를 일정 수준 덜어내면서 크고 작은 계약 소식이 연이어 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빅딜'을 통해 그동안 다양한 방면에서 보여준 '1등 DNA'를 신사업에서도 보여주는 게 절실하다. 주력 산업인 반도체, 스마트폰 등 기술력·판매량이 경쟁사에 밀리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메모리 반도체는 차세대 먹거리인 고대역폭메모리(HBM) 분야 주도권을 SK하이닉스에 뺏겼다. 2030년 1위를 달성하겠다고 선언한 시스템반도체 역시 대만 TSMC를 좀처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2017년 인수했던 하만의 경우 당시 영업이익이 600억원대에 불과했지만 작년에는 1조3000억원 규모로 성장했다.



배너